많은 사람들이 행복해지기 위해 부와 명예 그리고 권력을 쟁취하려 노력하며 살지만 그 많은 사람들 중 20%만이 부와 명예의 80%를 차지하게 된다고 한다. 20%의 사람 속에 나를 포함시키는 일, 우리는 그것이 곧 성공한 삶이라고 믿고 그 안에서 안주하기 위해 노력한다. 여기서 등장하는 숫자 20 : 80은 19세기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발견한 법칙으로 그는 이 법칙에 따라 당시 ‘이탈리아 인구의 20%가 이탈리아 전체 부의 80%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20 대 80 원칙이라고 명했고 사람들은 ‘파레토 법칙’이라고도 부른다.
사회학자들은 이 원칙이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우리 생활의 다양한 경제 통계 자료를 분석하면 20 대 80 원칙이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의 근로자가 80%의 일을 하며, 20%의 소비자가 전체 매출액의 80%를 차지하고, 20% 인구가 80%의 부를 축적하고 있다는 것은 대체로 수긍할 만한 일이다. 실제로 상장기업의 주식은 20%의 주주가 전체의 80%를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계에서는 20%의 배우들이 전체 배우들 수입의 80%를 가져간다고 한다.
이 법칙을 우리의 삶에 적용해 본다면 어떨까? 사회 발전의 80%는 20%의 특성화된 사람들에 의해서 이뤄지며 그들을 우리는 사회지도층이라고 부른다. 20%의 차별화된 생각과 행동으로 80%의 평범한 사람들을 지휘하며 이끌어 가는 삶, 인류의 발전에 대한 기여도가 80% 그룹에 속하는 삶은 생각만 해도 매력적이다. 이 매력적인 삶을 위해 남다른 생각, 남다른 판단과 실천으로 부단히 노력한다면 20%의 특성화된 사람 속에 들어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는 80%의 일보다는 누구나 할 수 없는 20%의 일을 해내는 사람이 지도자이며 그들이 바로 사회를 발전시키고 앞장서는 사람들이다. 본격적인 선거철에 접어들었다. 무조건적인 부와 명예, 권력을 추구하는 사람보다 20% 안에 드는 진정한 사회의 리더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지도자가 나오길 기대한다.
/조상윤 국제디지털대학교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