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도로 조성을 먼저 생각하자

김영준 경기실버인력뱅크 센터장
기자페이지

자전거도로에 관해 말들이 많다. 의정부시의 부용천변 자전거도로는 부실시공으로 비판받고 있고, 구리시의 망우리공원 도로에서는 자전거를 타던 시민이 도로 옆 절벽으로 떨어져 부상을 당했다고 한다. 시흥시의 자전거도로인 ‘그린웨이’는 농로에 무리하게 조성돼 뒤늦게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저탄소녹색의 으뜸으로 추앙되며 중앙정부와 경기도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자전거도로 조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이같이 자전거도로에 관한 말들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정책결정자와 시행자가 자전거를 자동차의 대용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하기라도 하듯 일부 지자체는 차도 대신 인도를 줄이고 그 자리에 자전거도로를 조성하고 있다.

결국 자전거도로를 전시용 행정으로만 생각하고 실제 자전거도로 조성에 일말의 진정성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 자전거도로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자전거(自轉車)는 글자 그대로 차(車)의 한 종류다. 차 중에서도 두 바퀴로 굴러간다 하여 이륜차(二輪車)라 불린다. 즉 친환경정책으로서의 자전거도로 조성은 기존의 자동차 도로를 다이어트 하여 자전거 도로를 조성하는데 비로소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답은 나와 있다. 진짜 자전거도로는 기존의 자동차도로를 다이어트 하여 새로 확대할 자동차 도로를 자전거 도로로 조성해야 한다. 자동차도로 정책보다는 자전거 정책을 우선하여 자전거를 다니게 할 수 있도록 할 때야 진짜 자전거도로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차 먼저 나고 사람이 나중에 난 것이 아니듯, 자전거 먼저 나고 사람이 나중에 난 것도 아니다. 사람이 제 다리로 걸어 다니겠다는데 그 길을 자동차는 물론이요 자전거도 뺏을 순 없다.

자전거는 녹색성장의 동반자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자전거를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활성화 시켜야 한다. 기름 한 방울 안 나오는 우리의 현실에서 자전거는 에너지 절약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도 줄이고 국민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