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에 첨단의료복합도시 조성을”

배기수 아주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기자페이지

대한민국 차세대성장동력산업에 첨단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막중하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의료는 인간의 의식주를 상위하는 생활필수요소가 됐다. 굶어 죽지 않는 상황이라면 의식주를 담보해서라도 최선의 의료서비스를 받으려는 것이 세계시민의 공통생리가 됐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의료산업의 활성을 위한 대단위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을 계획, 6월 말 그 후보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중앙정부는 선진국을 따라잡을 대단위 의료산업 집적체를 조성하겠다는 것인데, 이것이 실질적으로는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기보다 오히려 따라잡기를 한동안 멈추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의료바이오 기술은 선진국의 80%수준이며, 그 격차는 세 부문별로 다르지만 대략 15년 정도이다.

바이오 등을 제외한 순수 의료분야의 연간 국내시장 지출규모는 부문별로 의료서비스 40조원, 의약품 15조원, 의료기기 1조5천억원 정도가 된다. 이중 특히 의료기기와 의약품은 매년 엄청난 돈을 외국에 지불해야 한다. 기술개발 늑장 1년은 수십조 원에 해당한다.

문제는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는 ‘속도 생산’에 있다. 현 15년의 격차를 조금이라도 빨리 따라잡자는 것인데, 정부는 균형발전 논리 틀에 갇혀 인적자원과 인구가 부족한 시골에 단지를 조성하려 한다. 과거에는 기업이 들어서면 이를 따라 사람이 모이고, 도시가 형성됐다. 그러나 이는 아주 특이한 산업분야나 절대후진국에만 적용될 뿐이다. 시골에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조성한다면, 인구조성도 불가하고 우수인력도 유치할 수 없어 끊임없이 ‘물먹는 하마’ 애물단지가 탄생할 것이다. 지역마다 유치한 바이오센터가 모두 실패한 이유도 되짚어봐야 한다.

현시점에서 국내 의료제약산업의 메카는 경기도며, 그 핵심이 광교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국내 관련산업 생산액의 70%를 차지하는 업체와 연구기관이 집적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세계 굴지 제약사들이 경기도에 연구소와 생산시설을 설립하고자 시도해왔으나, 지방이 아니면 안 된다며 정부가 이들을 내쫓았다. 정부가 앞장서서 경쟁력을 지방으로 분산·사장한다면, 해외 유명기관으로부터 더 이상의 입주 제의도 없어질 것이다. 성공보장 입지를 확신하고 달려드는 세계 유명기업들에 대한 매력을 왜 국가는 애써 없애려 하는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