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일은 경기도교육감을 도민이 직접 투표로 선출하는 날이다. 최초로 도민의 직접선거에 의해 교육감을 선출하는 의미 있는 날이기에 경기도민 100%가 투표에 참여했으면 하는 소망으로, 내년에 시행될 교육감선거에 대해 생각해본다.
내년 선거부터는 교육감을 도지사가 러닝메이트로 지명한다느니, 정당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느니 말이 많다. 최종 결정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 고민하고 있는 정치권의 몫이지만 우리나라 교육의 미래를 생각해보면 아찔한 생각이 든다.
옛날 얘기가 아니더라도 격동기를 치루면서 먹고 살기 힘든 시대가 있었지만 교육에 의해 인재가 양성됐고, 그 인재에 의해 살기좋은 나라, 경제강국을 이뤘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교육 말살정책에도 굴하지 않고 나라를 걱정하는 분들은 교육만이 나라를 구할 수 있다는 신념에서 국민교육에 앞장섰다. 이렇게 중한 교육을 과연 어디로 끌고 갈 것인가.
작년에는 지역교육청을 폐지하고 교육장을 센터장이라 해서 시장·군수가 임명하는 산하기관으로 한다고 하다가 많은 반대에 부딪혀 잠수하더니, 이제 다시 떠돌고 있는 대로 교육감을 선출한다면 교육감이 각종 교육정책을 소신대로 추진할 수 있을까 의문이다.
따로 교육에 관한 한 교육감에게 재량권을 주는 등 후속조치가 따른다 하더라도, 떠도는 방법대로 선출되는 그 자체로만 본다면 정부나 도지사, 정당의 명을 받아야 하는 정치교육감이나 시녀교육감으로 전락할 소지가 다분하다.
1991년부터 시행돼 온 교육위원제도 마저도 도의회와 통합한다고 하는 등 각종 교육정책들이 옛날로 회귀해 교육을 정치에 예속화하려 하는 것 같고, 교육을 홀대하는 것 같아 40여년의 교육자 생활을 마감하는 정년퇴임을 앞두고 왠지 씁쓸함이 밀려온다. 교육에 대해 어느 나라보다 관심이 많다는 우리나라 국민들은 마구 흔들어 대는 교육정책에 어떤 생각을 할까? 외국으로 갈까? 교육아, 어디로 가고 있는 거니?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