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각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한국 역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경제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국내 경기도 좀체 풀리지 않아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더욱 빠듯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요즘 각 지방자치단체에는 귀농을 문의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일자리가 부족할뿐더러 벌이가 있다 해도 생활비가 만만치 않은 도시생활보다는 그래도 농촌이 낫지 않을까 하는 대안으로 여기는 듯 하다. 농촌은 일손 부족, 유휴 농경지 증가와 같은 만성적인 문제로 고민해 왔다. 이러한 귀농현상을 농촌의 문제와 함께 고려해 본다면 도농의 윈윈전략, 더 나아가 경제난국을 해결할 해법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경제 사정이 어려워지면 귀농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평소 1천호 내외이던 귀농가구가 IMF 직후인 1998년에는 6천400호, 1999년에는 4천100호를 넘어선 바 있다. 이렇듯 농촌은 각박해진 마음을 추스를 수 있는 어머니의 품이자 사회적인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민들의 경제적 도피처로 이용되고 있다는 우려처럼 농촌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에 대한 원인으로 귀농에 대한 준비가 부족함을 지적하고 있다. 성공적으로 정착한 이들의 경우 귀농하기 전 농촌생활을 미리 경험하면서 예측불허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한다. 또한, 잠시 머물다 돌아갈 곳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공간으로 이주하는 만큼 지역주민들에게 마음을 열고 교류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농촌이 살 만한 터전이 되도록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최근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세계적 경제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농촌은 급속도로 진행된 고령화로 젊은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시점에서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의 의미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귀농은 농촌의 젊은 인력 유입, 국가의 녹색 일자리 창출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둠으로써 녹색 희망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귀농을 적극 장려해 개인의 삶을 풍족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서 더 나아가 경제난국을 타개할 하나의 해법이 되기를 바란다.
/조은기 국립농업과학원 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