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식’은 기업의 핵심경영자원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지식창조가 기업의 경쟁력이자 부가가치의 원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선진국의 많은 기업들이 사내의 화두를 ‘지식’으로 삼아 이른바 ‘지식경영’을 활발히 추진해오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IMF사태 이후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지식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지식경영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에 비해 실제 적용에 있어서 그다지 성공적인 편은 아닌 듯 하다. IT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 구축에 지식경영이 편중되어 지식의 원천이라 할 수 있는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은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인적 및 기술력 그리고 경영혁신 인프라 구축에 애로사항이 많다. 그러나 불황과 어려운 시기마다 대두되는 경영혁신 및 구조조정의 요구와 더불어 향후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지식경영 도입 면에서 중소기업 역시 예외일 수는 없다.
성공적인 지식경영은 업무수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 및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경쟁력의 근간이 되는 지식자원을 개발하여 기업 내부의 광범위한 정보를 공유하고 재사용 가능한 지식자원을 확충하며, 기업 자신의 핵심역량과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있다. 중소기업에 맞는 지식경영 구축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식경영을 하는 목적이 분명해야한다. 목적이 분명해야만 지식경영의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지식경영이 업무 성과로도 연결된다. 둘째, 지식경영을 전담할 부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실제 힘 있는 사람들로 구성된 부서가 지식경영을 계획하고 실천해야만 지식경영이 기업 내에 조기 정착될 수 있다. 셋째, 정보 인프라 구축은 지식경영을 위한 일부분이지 전부가 아니다. 정보인프라 구축과 함께 조직구성원들의 변화를 유도하는 행동변화 프로그램을 병행해야 한다. 넷째, 기업내부 지식뿐만 아니라 기업외부의 지식을 흡수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식경영의 성과에 대한 평가와 보상시스템이 반드시 구축돼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에 체화된 지식자본을 타인들과 공유하기 꺼리기 때문에 지식을 창출하거나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충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않으면 지식공유문화가 정착되지 못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