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벤션센터 및 각종 공공 청사가 입주를 거부하면서 행정타운의 기능이 무색해진 광교 개발은 명품신도시라는 미명 아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면서 목표년도에 꿰어 맞추려는 공정 스케줄로 강행 추진돼 가고 있다.
각계 단체와 시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허울 좋은 광교 신도시의 홍보내용은 즉시 시정되어야 마땅하다.
행정편의상 경기도와 도시공사 그리고 수원시와 용인시의 협약에 의한 공동개발사업이 정작 입주해서 사용할 시민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사후 유지관리청인 지자체의 입장을 무시한 개발행위는 광교개발사업의 목적이 퇴색되었다는 점을 단호히 지적하고 싶다.
광교 신도시의 토지이용계획과 공간계획의 문제점은 물론이고 산업지구계와 접하고 있는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지 묻고 싶다.
올해말에 공동주택 분양계획이 있고 실시계획 변경처리절차가 남아 있다. 하루속히 관계 전문가와 지자체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 명실상부한 명품신도시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1천122만여㎡(340여만평)의 광교신도시가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신도시만 잘 만들면 되는 것인가. 신도시를 만들기 위해 기존의 구도심권이 길을 열어주고 멀쩡한 건물과 대지가 점유된다면 충분한 보상책과 주민 불편사항이 없도록 배려해야 한다. 더 나아가 신도시와 구도심권이 조화를 이루며 균형발전이 될 수 있도록 행정조치와 경관개선대책은 충분하게 검토 반영되었다고 판단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도시계획시설의 장소성은 경계가 분명히 있을 수 있겠으나 시민들의 왕래가 있고, 사회·경제·문화적 교류가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개발사업은 반드시 인근 지역과 유기적 연계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윈윈의 상호 보완적 효과가 있어야 한다. 신도시만을 위한 개발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될 말이다. 지구계 밖의 시설이라 하더라도 신도시 개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면 적극적인 계획 수립과 예산 투입을 해야 할 것이다.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교통건설국 건설정책의 시험의 장이 아니므로 수원시민과 용인시민을 위한 조화롭고 쾌적하며 아름다운 명품신도시가 되기를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