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미국과 일본을 방문, 정상외교를 펼치고 있다. 당선 후 첫 해외방문인데다 한·미 FTA와 한·일 정상간 셔틀외교 복원 등 현안들이 많아 연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사람으로서 언론 보도 중 가장 흥미를 끄는 대목은 역시 ‘세일즈 외교’로 명명된 국내투자와 해외 대형 프로젝트 유치 등 경제 관련 분야다. 이 대통령은 스스로 “I am a salesman”이라며 미국과 일본 등지에서 한국투자환경 설명회를 열고 미국과 일본의 오피니언 리더들과 각종 모임에서 적극적인 투자 유치와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사격에 열심이다.
국가 정상(頂上)의 세일즈외교는 낯설지 않다. 중국은 이미 후진타오 국가주석 등 국가 지도자그룹이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원유 등 원자재 확보는 물론 자국 기업들을 통한 사업 확보에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후 주석 등 국가 지도자들이 아프리카 50여개 국가중 단 1개국만 빼고 모두 순방했다는 소식은 가히 충격적이다. 미국에 이어 초강대국 지위를 놓치지 않으려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퇴임을 앞두고 이라크 등 중동 국가 지도자들에게 직접 전화를 거는 파격적인 행보를 통해 자국 기업의 대형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알려진대로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에 나서 중국에 떼제베를 파는 등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과의 협력관계는 주지하다시피 사업규모와 경제질서 등에 따라 ‘하청’이라고 표현되는 순차적 혜택을 받는 구조로 구성된다. 쉽게 말해 대기업 1곳이 대형 프로젝트 한건을 수주받으면 중소기업 100곳 이상이 참여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이야기다. 결국 외국자본의 국내 투자로 사업이 확대되거나 국제적 대형 사업을 국내 대기업이 수주하면 중소기업 수백곳 참여가 가능하고 일자리가 창출된다.
이 대통령의 미국과 일본 순방을 놓고 정치권의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노동계와 농민단체들도 설득력 있는 논리로 여러가지 주문들을 내놓고 있다. 모두 나름대로 논리를 갖고 있으며 각계각층을 대변하기 위한 최선의 주장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 대통령의 정상외교를 바라보는 중소기업들의 가장 큰 바람은 ‘일거리 확보’다. 갈수록 격화되는 경제환경을 감안할 때 기업들이 뚫기 어려운 해외시장 관문을 대통령이 외교력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면 기업의 안정은 물론 기업인들의 사기도 높아질 건 분명하다. 남북관계도 기업들이 흔들림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경제환경의 부분으로 이해하고 싶다.
권재형 한국협업기업協 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