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를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곳이 지방종합문화회관이라고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시민들이 문화를 통해 보다 밝은 삶을 꾸려갈 수 있도록 돕는 공간이다. 우리나라 광역시와 일반시 대부분은 1곳 이상의 문화회관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초자치단체인 군·구도 최소 1곳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정책적으로 문화관광부도 1곳에 한해 국비를 지원해주고 있다.
인천시내에도 인천시 종합문화회관 이외에 계양구와 서구가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부평구가 옛 송학사 부지에 부평문화회관을 신축 중이다. 그러나 대다수 문화회관들이 상주 문화단체가 없는 가운데 독자적인 콘텐츠 없이 외부 대관과 일부 기획공연 등으로 운영되면서 영화 상영이나 어린이 뮤지컬 공연, 학원 발표회장 등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시설관리공단의 위탁 운영으로 기획의 전문성은 물론 운영의 효율성마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다목적 종합공연장으로 표준적인 음향잔향시스템 시설로 인해 클래식과 오페라 공연에도 부적합하고 어느 장르의 공연도 특성을 살릴 수 없는데다 대중성 있는 공연은 낮은 좌석수로 수익성을 맞출 수 없어 공연기획자들이 기피하고 있다.
앞으로 신축되는 공연장은 장르별에 맞는 전문 형태로 확충돼야 준공 이후에도 차별화돼 운영될 수 있다. 이같은 측면에서 인천 송도에 추진하고 있는 송도아트센터 내 클래식 전용홀의 경우 인천에는 전무한만큼 시급히 추진해야 되며 아마추어급 및 일반 문화단체 정기발표회를 비롯, 각종 기념행사 및 대중공연공간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다목적 시민회관으로 옛 시민회관터에 구상되고 있는 문화시설계획도 조기에 추진돼야 한다.
부평문화예술회관도 다목적으로 신축되고 있는데 변경할 수 없다면, 특별히 차별화된 콘텐츠를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관리·운영의 경우도 예술을 공급하는 공공성이 높은 조직인데도 수익률로 평가받는 현실적인 여건을 감안해 대관료나 사용료, 부대시설 이용료 등이 합리적으로 책정돼야 한다. 운영의 차별화는 문화회관장 개인의 문화 마인드와 전문성 등보다 우수한 공연시설 시스템 완비와 안정된 운영예산 확보, 운영의 독립과 자율성 여부, 우수한 상주 문화단체 보유, 운영인력의 전문성 유무 등에 따라 좌우되며 최종적으로는 이같은 여건들이 종합적으로 확보됐을 때 시민들에게 질 높고 다양한 문화예술을 공급하는 공간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