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과 행정은 서로 다른 세계에서 활동한다. 서로의 차이에서 생겨나겠지만 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예술가들은 행정인에 대해 냉정하고 감수성이 없으며 무지하다고 까지 말한다. 행정공무원들은 예술인이 너무 단순하며 절차와 규정 같은 형식합리성을 우습게 안다고 말한다. 그래서 이 간극을 메워 주기 위해 생겨난 것이 예술행정이며 이 맥락에서 서로가 이해하고 접근하는 통로가 마련된다.
요즘 공무원들에게 비즈니스마인드를 주문하고 있어 문화직 공무원들도 이를 외면하기 어렵다. 문화예술 자체가 비즈니스 대상으로 성립되기 힘든데 창작의 세계를 이해조차 못하는 공무원이 무슨 수로 감당하겠는가. 더구나 서로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빌려 쓰기는 가능할 수는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문화직 공무원이 먼저 서둘러 비즈니스마인드를 가져야 할 것이고 일반 행정이나 기업의 것과는 다르게 자리를 매김해야 할 것이다. 이른바 시장과 공공의 영역사이에서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의 영역을 좁혀갈 것인가가 관건이다. 깊이 생각할 것도 없이 인맥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형성되지 않겠는가.
예술행정, 또는 예술경영에서 어떻게 성공적으로 네트워크를 펼칠 수 있을까. 공공기관을 대행하는 문화재단의 지원활동도 단지 돈 얼마를 대주기보다는 바로 이러한 네트워크형성에 기대한다. 네트워크는 문화행정의 역할을 확산시키고 그를 통해 정책을 펼치는 전략이다. 그런 만큼 문화정책에서 정책의 혁신과 그의 확산은 매우 중요하다.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감대를 갖는 사람이나 집단 등을 그룹으로 나눠야 한다. 그래서 네트워크가 용이한 집단을 의도하는 바를 확산시키는 지렛대로 활용해야 한다. 이는 단지 피아(彼我)를 구분하는 이원적 접근전략은 아니다. 보다 용이하게 이해되는 집단을 통해 이해되기 어려운 집단의 준거기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문화비즈니스라는 어려운 작업은 이러한 접근이 보다 현실적인 실현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나아가 관련 분야 확산에 도움을 주는 리더와 서포터 등을 구분해 역할을 분담시켜야 한다. 그래서 리더의 발굴과 활동 등에 대한 기대가 크다. 합리적인 권위를 부여받은 문화리더들의 역할은 좋은 기획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바탕으로 점차 커지게 된다. 더구나 리더십 못지않게 팰로우십이 중요한 세상에 걸맞게 서포터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지혜가 정말 중요하게 된다.
끝으로 성공담을 널리 알리는 홍보나 정보 제공이 중요하다. 더 말할 것 없이 이는 훌륭한 사례를 확산시키는 촉매가 된다. 홍보나 정보 제공은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교육을 시키는 확산전략이다.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스타사업이나 업체 등을 발굴해 그 성과를 홍보하고 벤치마킹을 통해 후발자들이 활용하도록 하는 전략적인 접근이 도움이 된다.
최근 문화직 공무원은 시장에 관여하지 않되, 비즈니스 코치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먼저 스스로 변하고 역할을 부여하는 자기 전개노력이 필요하다. 겨우 업무를 파악하고 나면 순환 보직하는 공직풍토에서 문화직 공무원은 차별적인 인력정책으로 관리돼야 한다.
이흥재 전주정보영상진흥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