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과 아부

민기영 변호사
기자페이지

칭찬과 아부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사전적으로는 칭찬은 ‘좋은 점이나 착하고 훌륭한 일을 높이 평가함, 또는 그런 말’을 의미하고 아부는 ‘남의 비위를 맞추어 알랑거림, 또는 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하고 있어 둘 사이의 경계가 매우 뚜렷한 것 같지만 현실적으로는 둘 사이를 구분하기 애매한 경우가 적지 않다. 칭찬이라고만은 볼 수 없는 온갖 아부들이 난무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이 둘에 대한 명확한 경계 설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칭찬과 아부는 분명 다르다. 그 차이점에 관해 깊이 있게 고민한 건 아니지만 필자는 상대방에게 기분 좋은 말을 하게 된 동기를 기준으로 칭찬과 아부를 구별하고자 한다. 만일 상대방이 듣기에 기분 좋은 말을 하게 된 동기가 그 상대방을 위한 것이라면 그 말은 분명 칭찬이다. 반대로 그 동기가 종국에는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라면 이는 아부라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말을 하는 사람의 동기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어떻게 보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좀 더 현실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칭찬은 그 속성상 윗사람이 자신의 아랫사람이나 후배에게 자주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윗사람들로부터 듣는 긍정적인 말들은 칭찬으로 추정해도 무방하다. 반대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하는 긍정적인 말들은 아부일 가능성이 크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아부는 훌륭한 출세의 수단이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듣기 좋은 말은 그 말의 진실 여부와 관계없이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매우 유쾌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필자가 보기에 우리나라 아부문화는 유독 그 정도가 심각한 것 같다.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조직생활을 하는 상당수의 침묵하는 다수는 필자의 위 결론에 공감을 표시할 것이라고 감히 생각한다.

우리가 흔히 하는 칭찬의 상대방이 누구인지 곰곰이 생각해보자. 아마도 그 상대방은 후배나 부하가 아니라 선배나 상사인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물론 그 칭찬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꼭 그렇지 않은 경우도 생각보다 많을 것이다. 이는 아마도 우리 사회에서 최소한 손해는 보지 않고 살아가기 위해 터득한 요령일지도 모른다. 부디 이러한 요령이 없이도 당당하게 살아가는 대한민국 사람들이 훨씬 더 많아지는 날이 하루 빨리 왔으면 한다.

민기영 변호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