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관·학 맞춤인력사업의 필요성

이 광 용 수원여대 산학협력단장
기자페이지

우리나라의 청년층(15~29세) 실업자 수는 지난달 현재 34만6천명(실업률 7.4%)으로 매우 높다. 기업의 인력난이 심하다는데 실업률이 높은 이유는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눈높이가 달라 서로 짝을 만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구직자들은 지역, 규모, 일의 내용 등의 측면에서 더 좋은 조건의 직장을 구하고, 구인자는 개인의 능력과 인성 면에서 더 좋은 조건의 인력을 원한다.

그동안 경기도는 이같은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부조합(Mismatching)을 최소화하고 청년층의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해 왔다. 특히 이 중에서 산·학·관 맞춤인력양성사업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작한 것으로 3년째 접어들고 있다. 이 사업의 원래 목적은 교육기관인 대학의 인프라를 활용해 미취업자들의 취업을 지원해주기 위한 것이었고 지금은 그 대상을 재직자와 졸업 예정자에게까지 확대시켜 인력양성 범위와 기업에의 인적 자원 기여 범위를 확대했다.

그런데 투자한 예산에 비해 취업 성과가 기대보다 낮다는 이유를 들면서 이 사업에 대한 지원을 계속해야 하느냐 마느냐 왈가왈부 말이 많은 모양이다. 하지만 이렇게 말하는 것은 성과의 평균 수치를 가지고 취업성과가 좋은 대학의 교육프로그램도 지원해주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잘 되는 것마저 못되게 하는 것과 같은데다 이 사업의 발전적 모델을 구축해 나가는 일도 아예 차단해버리는 것과 같다.

이 사업은 무엇보다도 중앙정부 주도로 일관하던 인력양성정책에 경기도가 대학과 산업체 등에 지방자치단체 특성에 맞춘 인력 양성을 요구한 데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사업은 취업이라는 단기적 성과도 중요하겠지만 지역에 장기적 관점에서의 맞춤인력 양성 및 수급 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의미를 지닌다. 지원이 끊겨도 지속적인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것이다.

따라서 경기도는 맞춤인력양성사업이 창조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줘야 하고, 확대해야 한다. 시스템의 구축이 몇개 기관에 제한되어서는 그 확산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직업교육을 지원해줄 때 지역의 직업교육을 주도할 수 있지 않겠는가. 대학도 무늬만 맞춤교육을 하려 하지 말고 지역의 대학으로서 꾸준히 체질을 개혁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기업 또한 가만히 앉아 우수 인력을 공급받으려고만 할 게 아니라 구직자들에게 비전 있는 직장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과 홍보 등을 기울여야 한다. 이렇게 상호 노력하는 가운데 창조적이고 새로운 성과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 광 용 수원여대 산학협력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