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공기는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중요한 자원이지만 희소성이 없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잊고 지내듯, 농업·농촌도 우리가 모르고 지내는 보이지 않는 다원적 가치가 많음에도 그 가치가 간과되고 있다. 그러면 농업·농촌의 가치를 화폐로 환산하면 얼마나 될까.
우선 논·밭은 농산물 생산이란 경제적 효과 이외에 환경보전, 홍수조절, 자원확보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49조3천400억원 상당의 가치(농촌경제연구원 발표자료)가 있다. 논밭의 사회·경제적 효과로는 농산물 생산을 통한 경제안정과 일자리 제공, 사회안정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20조4천억원 상당의 가치(지난 2000년 기준)가 있다.
또 논밭에 저장 가능한 물이 31억9천만t으로 홍수조절 효과가 커 17조8천98억원 상당의 경제적 가치로 평가됐다. 이밖에도 국내외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논·밭의 환경보전 기능도 높이 평가받는다. 매년 논은 산소 1천11만t을 발생시켜 대기정화기능(3조5천347억원 상당)을 수행하고 있고 논의 경우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수질정화기능(2조1천900억원 〃)도 있다. 밭 경작으로 토양 유실이 억제되는 양이 6천65만t으로 토양보전 효과(4천815억원 〃)가 있고 농작물 재배 때 증발이나 식물호흡을 통해 수분 61억9천만t이 빠져 나와 대기온도를 조절하는 효과(1조8천570억원 〃)도 있다. 지하수 함양을 통한 수자원 확보(1조8천451억원 〃), 농촌환경 보전(7천451억원 〃), 휴양 및 레저공간 제공(4천768억원 〃), 전통문화 보전 등 다양한 자원확보기능 등이 있다. 국내 다른 산업들이 급성장한 이면에는 이처럼 보이지 않는 농업의 공익적 기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만약 농업을 포기했을 경우를 생각해 보자. 농지감소와 무분별한 개발로 자연환경이 훼손되고 생태계가 파괴될 것이며 환경오염의 가속화와 각종 자연재해로 피해는 헤아릴 수 없을만큼 엄청날 것이다. 농촌 공동화(空洞化)는 결국 비농업부문으로 전가돼 환경·교통·주택난 등을 유발해 우리 삶의 질은 저하된다. 선진국을 지향하고 있는 우리는 지금 농업·농촌문제에 대해 깊게 고뇌해야 한다. 우리 농업에는 5천년 민족의 문화와 정신이 담겨 있다. 이것을 버린다면 민족의 미래는 기대하기 어렵고 후손들에게 영원토록 원망의 소리를 듣는다.
/박원식 농협 인천지역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