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가을바람에도 온몸이 ‘으실으실’ ‘수족냉증’

남성 양기부· 조루 여성은 불임 원인

찬바람이 불면서 손발이 차고 시린 수족냉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수족냉증은 치료가 가능하고 방치되면 여러 후유증으로 고생할 수 있다.

◇증상

심하면 여름에도 양말을 신고 자야 하고 손이 차가워 악수하는 것도 꺼리며 한번 시려워진 손발은 따뜻한 곳에 있어도 쉽게 풀리지 않는다. 팔다리까지 충분하게 혈액과 열을 낼 수 있는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되며 위장과 하복의 냉증으로 인한 소화장애나 생리불순 및 생리통 등의 증상과 함께 추위를 많이 탄다.

한의학의 냉증 일부로 단독 증상보다는 다양한 증상들과 같이 나타난다. 손발이 차갑고 무릎이나 허리가 시리고 쑤시며 바람이 나온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윗배가 차가우면 식욕이 없고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며 찬물을 아주 싫어하는 경우도 있고 아랫배가 차가울 땐 설사나 변비가 생길 수 있고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이나 생리통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하면 불임도 된다. 남성은 양기 부족이나 조루 등의 원인이 된다. 방치되면 손발이 시린 것으로 그치지 않고 나중에는 손발이 저려오고 통증까지 느낀다. 삶의 질이 떨어지고 저혈압이나 만성피로 원인이 된다. 여성의 경우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손끝, 발끝의 괴사가 올 수 있다.

◇치료

여러 유형으로 나눠 치료된다. 첫째 팔다리가 잘 저리고 멍이 잘 드는 증상이 나타나는 기혈어체(氣滯血瘀) 형이 있다.

치료로는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처방을 쓰는데,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계통 약이 많이 사용된다. 둘째, 피곤하며 기운이 없는 무기력한 증상과 더불어 나타나는 기혈허약(氣血虛弱) 형이 있다. 치료는 기혈(氣血)을 보강하는 약물 위주로 처방된다.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팔물탕(八物湯)계통 약들이 많이 사용된다. 셋째, 아랫배가 차가우며 생리통과 월경불순을 동반되는 한습어체(寒濕瘀滯) 형이 있다. 찬 음식을 피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자궁을 따뜻하게 하면서 어혈(瘀血)을 풀어준다. 처방으로는 이중탕(理中湯) 계통 약들이 많이 사용된다. 침이나 뜸 등의 치료법도 있다.

◇식이요법 등 치료법

권장식품으로는 당근, 무, 파, 마늘, 양배추, 시금치, 생강, 고추 등과 사골탕, 콩, 꿀 등이 있고, 피해야 할 식품으로는 수박이나 참외 같은 성미가 찬 과일, 제철이 아닌 야채는 몸을 냉하게 만들므로 피해야 한다. 인스턴트 식품이나 튀김류, 설탕 등은 혈액순환에 장애를 가져오므로 증상이 심한 사람들은 섭취를 줄이는 게 좋다. 손발 담그기와 반신욕 등을 비롯, 늘 따뜻한 음식을 먹어 체질을 바꾸는 게 좋다.

/안대종 안양 중화한방병원장·한의학박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