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팔다리 무겁고 잦은 두통·피로감 느껴 양기·혈이 부족한 경우엔 침·뜸 요법 치료
최근 무더워진 날씨 탓에 과도한 에어컨 사용으로 사무실에서 훌쩍거리며 코를 푸는 사람들이 많다. 대부분은 처음에는 “며칠 지나면 괜찮아지겠지”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만 시간이 지나면 두통까지 겹쳐 병원을 찾은 결과 과도한 에어컨 바람으로 인한 냉방병이란 진단을 받는 경우들이 많다.
◇증세
냉방병은 아직 의학적으로 정확하게 정의돼 사용되는 병명이 아니고 여러가지 증상들을 모아 놓은 포괄적인 용어이다. 따라서 여름철 냉방장치가 완벽한 사무실이나 건물 안에서 오래 일하는 직군중 신체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증상들을 통틀어 냉방병 또는 냉방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다. 냉방병에 걸리면 전신증상으로 두통과 피로감이 자주 일어나고 어깨나 팔다리가 무겁고 허리가 아프며 몸에 한기를 느낀다. 위장 증상으로는 소화불량, 복부팽만감, 복통, 설사 등이 있고 심한 경우 메스꺼움과 구토증상 등도 나타난다. 호흡기 증상으로는 감기에 자주 걸리고 감기에 한번 걸리면 잘 낫지 않으며 콧물이나 기침, 인후통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흔하다.
◇원인
환기 부족으로 건물 내 여러가지 유해물질들이 축적돼 두통이나 점막 자극, 피부건조, 집중력이 떨어지고 머리가 맑지 못한 증상 등이 나타난다. 특히 에어컨은 습기제거 효과가 커 공기를 건조하게 만드는만큼(유해물질을 차단하는 호흡기 섬모기능을 약화시킨다) 감기와 같은 호흡기계 질환에 쉽게 걸린다. 실내외의 현저한 온도 차이도 원인이다. 실내외 온도차가 5~8℃ 이상 지속되는 환경에 오랫동안 머물면 자율신경계 기능에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고 결국 장운동 조절이나 뇌의 혈류량, 혈압,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호르몬 순환 등에 영향을 미쳐 이같은 증상을 보인다. 레지오넬라균 감염도 원인이다. 주로 대형 건물 냉각탑 냉각수에서 번식, 이 균이 포함된 물방울이 호흡기를 통해 감염돼 고열이나 기침, 근육통 등 독감 증상을 보인다.
◇치료
냉방병에 취약하면 평소 양기가 허해 몸이 차고 소화가 잘 안된다. 이런 증세가 전체 냉방병 환자의 30% 정도다. 혈이 부족해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아랫배와 손발이 찬 경우는 이보다 더 많은 50% 정도이다. 냉방병 치료는 들어온 찬 기운을 내보내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치료로 마무리해야 한다. 양기가 부족한 경우와 혈이 부족한 경우 등으로 나눠 치료한다. 치료법으로 침요법과 뜸요법, 한약요법 등이다. 한약요법으로는 동의보감에 보면 주하병(注夏病)이나 서병(暑病) 등 여름에 발생하는 병들이 있고 이것을 다스리는 한약이 있다.
◇예방
적당한 간격(1시간 정도)으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주는 게 좋다. 바깥과 실내온도차가 5~8℃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실내온도는 26~28℃ 유지해야 한다. 하루 8~10잔(1.5~2ℓ) 이상 물을 마시는 게 좋다. 찬물보다는 미지근한 물이 좋다. 비타민이 풍부한 신선한 야채와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 외부의 감염이나 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는 체력을 갖춰야 한다. 기타 세균들이 에어컨 필터에 번식할 수 있는만큼 1~2주일에 한번 정도 에어컨 필터를 청소해야 한다. 여름휴가 등 장시간 자동차 여행시 에어컨 청소는 필수이다.
/안대종 안양 중화한방병원장·한의학박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