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탑 라이스 생산의 의미

WTO 협상에 따라 올해부터 수입쌀과 우리쌀이 국내 시장에서 밥쌀로 국민들의 선택을 두고 경쟁하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이에 따라 도대체 우리 쌀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이며 이미 쌀 수입을 개방한 나라들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고 그 파장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코자 일본과 대만 등에 대해 쌀 전업농, RPC 관련자, 언론인, 관련 공무원 등으로 조사단을 편성해 조사해 본 결과 일본과 대만 등은 극명한 차이가 있었다.

일본의 경우 (재)곡물검정협회가 국내 브랜드 쌀에 대한 품질조사 결과 발표와 품질 인증제도 도입 등으로 일본쌀의 품질이 크게 향상돼 국내산 쌀은 고급 쌀, 수입한 외국쌀은 저급쌀 등으로 국민들에게 인식돼 시장 개방 이후에도 쌀산업 보호에 성공한 반면, 대만은 품질정책 미흡과 막연한 일본쌀 선호로 수입된 가짜 일본쌀이 자국산보다 오히려 고가로 유통되는등 쌀시장 혼란이 초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 쌀이 수입쌀과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선 지역 위주 브랜드보다는 품질 위주 공동 브랜드로 발전돼야 한다는 결론을 얻게 됐고, 세계 최고 수준 쌀을 생산하겠다는 탑라이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됐다. 탑라이스는 밥맛을 결정하는 주요 지표를 세계 최고 수준급인 단백질 함량 6.5% 이하, 완전미 비율 95% 이상 등으로 목표수준을 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재배 매뉴얼을 개발하며 탑라이스 생산을 위한 단지를 선정하고 소비자가 재배과정을 소상히 알 수 있도록 생산이력 공개시스템도 개발, 공개하는 등 현장 기술지도를 통해 생산에 성공했다.

흑백 TV에서 PDP TV에 이르기까지 사실 어떤 제품에서든지 지배 제품이 있기 마련이고 이 지배 제품은 다른 제품을 리드해 나감으로써 산업은 발전된다. 브랜드는 어떠한가. 소비자 관심은 어느 나라 제품이냐 보다 어떤 고품질 브랜드이냐에 있다. 델몬트나 썬키스트 오렌지가 어느 나라에서 생산됐느냐를 따지는 사람은 없다. 브랜드에 대한 품질이 고정된만큼 브랜드를 신뢰하는 것이다. 아무튼 품질위주 브랜드가 잘 정착돼 품질에 따른 가격 차별화가 이뤄진다면 우리 쌀의 품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돼 수입을 걱정하는 차원에서 세계 고품질 쌀시장을 향해 수출할 수 있는 날도 속히 도래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이 충 현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