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은 1897년 부산에서 시작됐지만 설립 주체와 교사 및 교육 대상 등 모두 우리나라 사람으로 시작된 유치원은 1916년 박희도가 정동교회 내 현재 중앙대 부설유치원의 전신인 중앙유치원이다. 그후 1969년 최초의 유치원 교육과정령이 공포됨으로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본격적인 성장기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초·중등교육법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다 2005년 이르러서야 독자적인 법을 갖고 유치원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됐다.
이렇게 유치원교육이 시작된 지도 어언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교육기관인데도 일반인들은 유치원교육이 놀이시설을 겸한 보육기관 정도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편견을 지워 드리고자 유치원교육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교육과정을 소개한다.
흔히 말하는 교육과정이란, 학교 교육에 있어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목표를, 어떠한 교육내용과 방법, 평가를 통해 성취시킬 것인가를 정해 놓은 공통적·일반적 기준이다. 이런 관점에서 유치원교육과정이란 어떤 모습을 한 것인가?
유치원교육에도 기본 방향이 있다.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한국인을 육성하자는 것이 큰 틀로서의 기본방향이다. 이 기본 방향을 위해 교육의 목표는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계발하는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에 뒀고, 교육의 내용은 세계화·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으로 했으며, 운영면은 유아의 능력, 적성에 적합한 유아 중심 교육을 실천하도록 했다. 이러한 목표와 내용과 운영을 위한 제도는 지역이나 유치원마다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교육 과정을 편성해 운영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학습 내용의 정선 및 수준별 적절성을 도모했으며, 교육시간 운영의 다양화와 기본 생활습관 형성 및 협동적인 생활태도와 감성 계발 교육의 강조, 창의성 및 정보능력 함양 교육의 강화 등이다. 또 유치원교육의 안과 밖은 다지다양한 학습경험을 통해 건전하고 건강한 독립된 인격체로 성장하되 더불어 사는 지혜를 터득함에 따라 조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온전한 성장을 이루도록 편성했다.
이제 우리 성인들은 유아교육과정을 알고 유치원교육을 바로 볼 수 있는 안목을 갖기를 소망해 마지 않는다. 유치원에도 엄연히 제도화된 교육과정이 있음을 차제에 분명하게 인지해 주실 것을 간곡하게 부탁드리는 바이다.
/석 호 현 한국유치원연합회 경기지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