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취임한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빠른 시일 안에 강력하고, 경제적으로 발전되고,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국가로의 발전”을 국정목표로 정했다. 특히 그는 2010년까지 러시아의 GDP를 배증시킨다는 목표하에 각종 정책을 강력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매년 경제성장률 7%를 지속시켰고, 러시아의 국제적 위상을 크게 제고, G8국가로 만들었다. 러시아는 작년에도 8%의 GDP성장률을 실현했으며, 외환보유고는 1,000억 달러에 달했다.
푸틴 대통령은 당분간 다민족사회의 국가통합성 유지 및 제반 정치·사회문제의 효율적 해결과 고도 경제성장을 통한 강대국 건설을 명분으로 ‘러시아식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 체제, 즉 관리 민주주의와 관리 시장경제 체제’를 유지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푸틴은 국내 에너지 산업의 국가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고유가를 외교무기와 지렛대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즉 유럽국가, 미국 등과는 에너지 협력협정을 체결했으며, 시베리아 송유관을 놓고 대일, 대중, 대한 외교에 활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안보현안들, 북핵문제, 남북교류 및 협력,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등에 대한 정책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평화번영 정책은 물론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정책과 거의 일치한다. 특히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유라시아에 걸쳐있는 영토의 광대성과 막강한 핵 무장, 한반도와 지리적 인접성 등은 러시아가 우리 의지와 상관없이 어떤 형태로든 한반도 평화정착 및 통일과정에 관여할 수밖에 없다.
러시아에서는 보편적 가치기준보다 개별적 가치가 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흔히 “에따 러시아”라고 표현한다. “이게 러시아야”라는 뜻으로 러시아 현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그만큼 러시아 외교, 안보정책에서 푸틴대통령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따라서 노무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한·러 정상회담 정례화 실현은 ‘상호 신뢰의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성숙시켜 한·러 관계를 한 차원 더 높게 끌어올릴 것이다.
노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공동체 건설은 인접국이자 무진장한 천연자원 보유국인 러시아의 협력과 참여없이는 큰 실효를 거둘 수 없음을 감안, 대러 경제협력 외교를 강화시켜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작년 9월과 올해 5월 한·러 정상회담을 통해 에너지 분야의 긴밀한 협력합의와 동시에 삼성과 LG의 에너지산업에 투자키로 한 것은 무척 다행스런 일이다. 올해로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 121년. 이제 양국은 약속한 협력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면서, 발전된 양국관계를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적극 활용해야 한다.
/홍 사 광 ㈔한국사회문화연구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