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카페/문화봉사의 즐거움

프랑스가 문화성을 설치한 것은 1959년이고, 문화자원봉사자가 5만명을 돌파한 것은 1980년이다. 그리고 미국인의 52%가 주 3.5시간을 봉사하는데 사용함으로써 활력 있는 생활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한다는 통계는 1996년의 일이다. 우리 애가 학교에서 요구하는 봉사활동을 위해 동회를 찾아가면 도움 받을 일이 없다고 거절당해 돌아오고, 우체국에 가서는 우편물을 분류, 운반하느라 파김치가 되어 돌아오곤 하던 시점이다.

미국 케네디센터는 600여 명의 봉사자들이 하루 3교대로 평균 4시간씩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평균 6시간 정도의 오리엔테이션을 받고, 3개월 수습기간을 거쳐 선발된 사람들로, 본인 희망에 따라 관람안내, 회계사무, 공연관련자료 수집 및 정리, 회지발간 등의 업무를 맡아 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봉사시간동안 무료주차와 정기홍보물의 배달, 10달러 이상의 기념품 구입시 25%할인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연말에는 활동기록을 증명하는 서류를 발급, 활동에 소요된 경비를 정산해 주기도 한다. 그야말로 혜택이라고 할 것도 없지만, 늘 지망생이 넘쳐 극장측이 엄격히 선발한 사람들에게만 봉사기회를 부여한다고 한다.

최근에는 우리 사회도 봉사활동이 다양한 형태로 활발해지는 추세에 있지만, 문화봉사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고 있다. 대체로 단순한 관람 안내, 문화재 해설 혹은 우편발송보조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화봉사자는 지역의 문화발전을 원만하게 해주는 문화촉매자로서, 인간의 꿈과 사회의 갈망을 제시하고 실현하는 극장 기능을 확충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개개인의 삶의 또 다른 가치 코드를 발견하고 창조할 수 있기에 문화봉사의 의미는 중요하다. 이미 선진사회는 기부행위나 봉사활동이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사회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고 있지만, 우리의 현실은 아직 그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제 문화봉사의 영역을 넓혀 시민들의 적극 참여를 권유할 때가 되었다. 우리 사회는 능력과 열정이 넘치는 인적자원이 비교적 넉넉한 편이다.

뿐만 아니라 바쁜 시간을 쪼개어 1주에 한번씩 사회봉사 활동을 하는 주부 역시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분들로 하여금 시민의 입장에서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진행, 홍보 및 모니터 역할까지 맡게 한다면, 극장이 지역사회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시민 참여프로그램으로도 승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해가 가고 있다. 치열하게 1년을 보낸 사람과 그러하지 못한 사람들이 느끼는 감회가 다를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연말의 시간은 늘 아쉬움을 떠올리게 한다. 아주 누구라도 마음먹고 한달 혹은 1주일에 한번쯤 문화봉사를 체험하며 스스로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연말의 아쉬움을 조금은 덜 수 있는 방법으로 권유드리고 싶다.

/구 자 흥 의정부 예술의전당 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