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K2 전차 2차 계약 확정…8조8천억 '사상 최대'

현대로템-폴란드 국방부 협상 타결

K2 전차. 연합뉴스
K2 전차. 연합뉴스

 

 

장기간 지연됐던 K2 전차의 2차 수출 계약이 최종 확정됐다.

 

방위사업청은 2일(현지 시각) 폴란드에서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국방부 장관과 K2 제작업체 현대로템이 K2 전차 2차 계약 협상을 완료했으며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고 전했다. 계약 규모는 양측 협의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K2전차 180대로 약 65억 달러(8조8천여억원) 규모로 추정한다.

 

폴란드 정부는 조만간 양국 고위급이 참석하는 공식 계약 체결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폴란드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급변한 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방산업체들과 포괄적 총괄계약(Framework Contact)을 체결한 바 있다.

 

K2 2차 계약은 2022년 K2 전차 180대를 포함해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천무 다연장로켓 등 총 4대 무기체계에 대한 1차 이행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2023년 K9 자주포, 2024년 천무 2차 이행계약도 차례로 성사됐다.

 

K2 전차의 2차 이행계약도 조기 체결이 예상됐으나 폴란드형 K2 전차(K2PL) 개발과 현지 생산 등이 포함되면서 사업 범위가 넓어지고 계약 규모가 커짐에 따라 협상이 길어졌다.

 

K2 전차 1차 계약은 국내 생산 완제품을 수출하는 것이었고 2차 계약에는 국내 생산분과 함께 폴란드 군의 요구 성능에 맞춘 K2PL의 인도가 포함된다.

 

특히 2차 계약부터는 상당 물량이 현대로템과 폴란드 업체의 협력을 통해 현지에서 조립 생산될 예정으로, 폴란드 내 K2 전차 생산 시설이 구축될 계획이다. 2차 물량 180대 중 117대는 현대로템이 생산해 공급하고, K2PL 63대는 폴란드 업체 PGZ가 현지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신규 개발과 현지 생산 시설 등이 포함되면서 2차 계약은 1차 계약과 전차 대수는 같아도 액수가 1차 때의 약 4조5천억원보다 훨씬 커졌다.

 

방사청은 “현지 생산 거점 구축은 총괄 계약에 포함된 K2 전차 총 1천대 물량에 대한 후속 계약의 이행 가능성을 높인 것”이라며 “이번 계약이 유럽연합(EU)에서 지난 3월 발표한 ‘유럽 재무장 계획’에 부합하는 방산 협력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럽 내 개별 국가는 물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차원에서도 새로운 방산 수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현대로템은 이번 계약으로 방산 수출의 지형을 바꾸며 K-방산의 유럽 진출 시대를 본격화했다는 평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