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물녘 오솔길’·‘신들의 고향 코카서스 세 나라’ 발간한 수필가 박태수

image
‘저물녘 오솔길’, ‘신들의 고향 코카서스 세 나라. 문비 刊

 

일흔 다섯의 나이에 세계 곳곳을 누비며 또 다른 세상과 삶을 만나고 있는 박태수 수필가가 수필 제3집 ‘저물녘 오솔길’과 여행에세이 2집 ‘신들의 고향 코카서스 세 나라’를 출간했다.

 

‘저물녘 오솔길’(문비 刊)은 느림의 모놀로그(2020) 새벽의 고요(2022)에 이은 세 번째 수필집으로 삶을 대하는 진지함과 차분함 잃지 않은 작가의 태도가 한 글자 한글자 묻어난다. 총 4부에 걸쳐 인생을 살아오며 느낀 그의 행복에 관한 이야기, 삶의 여정과 여행길에서 건져올린 세계의 문화·역사, 고전을 통해 세상과 삶을 통찰하며 옮긴 삶의 지표, 현 시대를 통찰력 있게 들여다 보며 써내려간 직설 등이 옮겨졌다.

 

삶과 죽음, 인간과 신의 종교부터 건강, 의료대란, 갈등 사회 등 분야를 넘나드는 저자의 깊이 있고 풍부한 해석이 특히 돋보인다. 보건학 박사이자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영전략본부장과 경기인천지역본부장을 역임하고 보건학 분야로 대학 강단에 30년 넘게 서온 저자의 보건 전문 지식과 수필가로서 쌓아올린 문학적 세계, 다양한 공간과 세계를 여행하며 건져올린 그만의 이야깃거리가 문장마다 풍부함과 읽는 재미를 더한다.

 

‘신들의 고향 코카서스 세 나라’(문비 刊)는 아제르바이잔과 조지아, 아르메니아순으로 한 달 동안 둘러본 여행기다. 그의 두 번째 여행에세이로 곳곳마다 아름다운 자연과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수도원, 교회가 즐비한 코카서스에서 아름다운 동화같은 이야기를 펼쳐낸다.

 

코카서스 세 나라는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땅이었다가 독립 후 다시 편입과 독립의 역사를 지녔다. 저자는 이 곳의 같은 듯 하면서도 각기 다른 문화와 역사, 민족적 성향 등을 그가 옮긴 발걸음을 따라 풀어내며 여행의 세계에 독자를 초대한다. 저자의 발걸음과 친절한 해설과 함께 따라가다 보면 우리에게 익숙하지도, 널리 알려진 명소도 없는 이 곳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된다.

 

“어릴 적부터 꿈이 세계일주였다”는 저자는 환갑 때 글쓰기 공부를 시작했다. 경희대 평생교육원 문예창작과에서 공부하면서 여행을 글로 옮겼다. 현재까지 그가 여행을 다닌 나라만 70여곳.

 

그는 프롤로그를 통해 “스스로 가능성을 믿고 인생을 대하는 것이 성공을 향한 가장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며 “지금도 새로운 여행 꿈꾸고, 여행길에서 새로운 인연을 만나길 기대한다. 오늘도 새로운 도전을 향하여 마지막 촛불을 태운다”고 밝혔다.

 

책의 끝 무렵 코카서스 여행기를 마치며 풀어낸 저자의 글에서 끝이 아닌 또 다른 여정의 시작과 설렘이 느껴지는 이유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