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해영 시의원 "관내 인력·장비·자재 적극 활용해야…부천형 지역 순환경제 촉진“
부천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공 건설 공사에 관내 인력·장비·자재 활용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장해영 부천시의회 재정문화위원장(더불어민주당·비례)은 최근 시정질문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해법으로 부천시가 발주하는 공공 건설 및 대규모 개발사업에 관내 인력·장비·자재의 활용을 제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강하게 피력했다.
장해영 의원은 “부천시나 부천도시공사 등이 발주하는 공공공사와 개발사업은 도시기반시설 확충을 넘어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돼야 한다”며 “공공 건설사업이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지역 경제의 혈류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장동 개발사업을 비롯해 대규모 공공공사들이 예정된 지금이야말로 지역업체와 자재를 적극 활용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최적기”라고 강조했다.
특히 장 의원은 개발사업에 대해 설계·기획 단계부터 지역업체, 자재, 장비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발주 조건에 이를 명시하는 제도적 장치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한 지역 내 경제순환과 인구 유입 촉진을 위해 업체의 지역 기여도(예: 하도급·장비·인력의 지역 활용 실적, 소속 임직원의 지역 주소 비율 등)를 기준으로 수의계약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 도입도 적극 검토를 주문했다.
이에 대해 부천시는 관내 기업 우대정책의 일환으로 우선구매 시책을 추진 중이며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구매율 증가와 공급 확대를 위해 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시는 2017년부터 「부천시 지역업체 생산품 및 서비스 우선구매 규정」을 운영 중이며, 우선구매비율 목표 조정과 관내 기업 대상 면담창구 확대 등을 통해 실질적 지원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설계 단계부터 지역업체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발주계획 사전 공개 확대와 구매율 저조부서 실태 파악, 우선구매 이용실태 지도 점검, 관내 기업 제품 우선구매 면담창구 이용 홍보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계약법 내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에 부여된 계약 관련 재량권은 제한적이나,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 관내 기업이 체감할 수 있도록 구매율 증가에 집중하여 관내 기업 제품과 서비스 우선 구매 시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