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노후계획도시 대전환 시동…“글로벌 미래도시로 재도약”

인천시가 23일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Next Incheon (Inner City Global Initiative)’ 포럼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23일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Next Incheon (Inner City Global Initiative)’ 포럼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지역의 노후계획도시를 ‘글로벌 미래도시’로 탈바꿈하기위한 체계적인 정비전략을 마련한다.

 

23일 시에 따르면 택지개발 이후 20년 이상 지난 노후 계획도시 5곳을 대상으로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정비 대상은 연수·구월·계산·부평·만수 등 1세대 택지지구로, 인천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한다.

 

시는 해당 지구들을 ‘특별정비구역’으로 지정해 공공성을 확보하고, 용적률 상향 및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인프라 중심의 미래형 정비모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특히 인천형 도시정비의 시범모델로 해당 구역을 설정해 향후 노후지구 전역으로 정비 범위를 확장할 방침이다.

 

시는 이번 정비계획을 단순 재건축을 넘어 토지이용 재편,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교통망 개선, 환경친화형 정주환경 조성 등 종합적인 도시 리뉴얼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블록 단위 재건축을 중심으로, 지구별 특성을 살린 세대혼합형 주거공간과 상업·복합 기능이 공존하는 ‘미래형 거점지구’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이다.

 

시는 정비사업 자문단 및 실무 태스크포스(TF)를 통한 실행 전략도 마련한다. 또 LH(한국토지주택공사)·인천도시공사(iH)·교육청 등 관계 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정책 일관성 확보를 위한 계획·재정·거버넌스 통합화도 함께 추진한다.

 

시는 주민공람 및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국토부 협의 등을 거쳐 오는 2026년 3월까지 기본계획 수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기본계획에는 지역별 정비 우선순위와 유형 분류, 공공의 역할 범위, 민간 참여 유도 방안 등이 담길 예정이다.

 

황효진 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이번 포럼은 인천시 노후계획도시의 미래상을 시민과 함께 공유한 뜻 깊은 자리였다”며 “도시의 물리적 재생 뿐 아니라 사회·산업·환경을 아우르는 종합적 정비계획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실행력 있는 정비계획을 통해 노후계획도시를 사람 중심의 정주환경과 신산업이 어우러진 활력 도시로 변화시켜 나가겠다”며 “시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 인천시, ‘1기 신도시’ 노후계획도시정비 시급...‘길·학교·하수도’ 계획 짜야

https://kyeonggi.com/article/20250623580363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