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서원,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방안 모색… 민간협의체 회의 열어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가 최근 센터 회의실에서 1차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민관협의체 회의를 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가 최근 센터 회의실에서 1차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민관협의체 회의를 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는 최근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1차 민관협의체 회의를 열고 2차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 5개년 계획 중간점검을 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2024년에서 오는 2028년까지 추진하는 2차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 5개년 계획은 자립장애인 지역사회 정착 지원, 지역 중심 돌봄 체계 강화, 재가장애인 자립 지원 등의 정책 과제를 담고 있다. 또 장애인 자립 정책 추진 강화 및 지원체계 개선 정책과제와 함께 17개 세부 사업을 명시하고 있다.

 

센터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5월까지 17개 사업 가운데 13개 사업이 목표 100%를 기록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일부 사업은 1차 계획과 비교해 자립장애인 지원 내용을 확대했다.

 

장애인 지원주택 공급 목표는 모두 110호인데, 현재 장애인 자립 수요에 맞춰 55호를 확보했다. 또 자립장애인에게 지원하는 초기 정착금은 지난해 800만원에서 1천만원으로 늘렸다. 시설 퇴소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간 역시 증가했다. 이 밖에 발달장애인 개인별 지원계획 수립 사업도 활발하다. 현재 계획에 따라 5명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 지원주택으로 자립한 1명과 일반 주택으로 자립한 4명이 대상이다. 센터는 주간활동, 활동지원, 공공후견 등의 서비스를 연계했다.

 

센터 관계자는 “올해는 대시민 자립장애인 인식개선 사업에 공을 들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관협의체는 전지혜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위원장으로, 인천시 장애인복지과와 인천대, 인천사서원 정책연구실, 현장 전문가, 장애인 부모 등 12명으로 이뤄져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