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째 소식 없는... '고양페이' 인센티브

국비·도비사업 중첩 이유로 중단, 국비지원 사업만 진행… 道 유일
시민들·지역 정치권서 불만 고조... 市 “정부 추경편성 후 지급 재개”

고양특례시 덕양구 주교동에 위치한 한 식당 출입문에 고양페이 가맹점 스티커가 부착돼 있다. 신진욱기자
고양특례시 덕양구 주교동에 위치한 한 식당 출입문에 고양페이 가맹점 스티커가 부착돼 있다. 신진욱기자

 

고양특례시 지역화폐인 ‘고양페이’의 인센티브 지급이 반년째 중단되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17일 시에 따르면 지역화폐인 고양페이는 지난해 12월 인센티브를 지급한 것을 끝으로 반년째 중단 상태다.

 

40만원을 쓰면 2만8천원이 추가 적립되는 인센티브가 사라지자 고양페이 발행액도 급감했다. 인센티브 7%를 지급했던 지난해 5월 발행액은 73억6천여만원이었으나 올해 5월 발행액은 4억5천여만원에 불과하다.

 

이처럼 인센티브 지급이 중단된 이유는 시가 국비사업만 진행하기로 결정한 탓이 크다.

 

지역화폐 지원사업은 국비 사업(시 부담 40%)과 도비 사업(시 부담 60%) 등으로 나뉘는데 시는 두 사업이 중첩된다며 지난해부터 국비사업만 진행 중이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 올해 도비사업을 신청하지 않은 지자체는 고양이 유일하다.

 

문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비사업이 본예산에 편성되지 않아 사업 시작이 늦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상황이 이렇자 시민들과 지역정치권 등에서 불만과 비판 등이 쏟아지고 있다.

 

덕양구 화정동에 사는 50대 이모씨는 “고양만 지역화폐 인센티브가 없다고 시민들이 아우성인데 시는 도대체 뭐하는 거냐. 시민에게 인센티브 몇 만원 주는 게 그렇게 어렵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해 고양으로 이사 왔다는 대화동 주민 40대 임모씨도 “어려운 살림에 아이들 학원비 몇 만원 아끼려 올해도 고양페이 인센티브가 시작되길 애타게 기다렸는데 허탈하다”고 토로했다.

 

맞벌이 주부라는 50대 정모씨 역시 “주변에서 고양페이만 인센티브가 없다는 말을 많이 한다”며 “인센티브 높은 파주시로 쇼핑하러 간다는 친구들도 꽤 있다”고 전했다.

 

김성회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고양갑)이 지난 1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올린 글에 첨부한 경기도 지역화폐발행지원 문서 일부 캡처 이미지. 신진욱기자
김성회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고양갑)이 지난 1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올린 글에 첨부한 경기도 지역화폐발행지원 문서 일부 캡처 이미지. 신진욱기자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지역 정치권의 비판도 계속되고 있다.

 

김성회 국회의원(민주당·고양갑)은 지난 1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고양페이는 지역 소상공인과 고양시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며 “이념과 당리당략은 좀 뒤로 미뤄 두고 민생을 먼저 돌보라”고 쓴소리를 했다.

 

이런 불만에 대해 시는 정부가 추경에서 국비지원 예산을 확정하면 추경에 관련 예산을 편성해 인센티브 지급을 시작한다는 입장이다.

 

고명님 소상공인지원과장은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가 국비 지원사업을 하겠다고 발표했고 수요조사서가 내려와 예상 지원금액을 요구한 상태”라며 “9월에 있을 2회 추경이 끝나는 대로 7%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