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축성방식 연구 등 활용
오산 독산성 세마대 일대에서 정조시대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내성(內城)과 19세기 건물터가 발굴됐다.
이번 발굴은 조선 후기 축성 방식과 국방시설 연구 등에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산시는 (재)중부고고학연구소 및 한신대 박물관과 공동으로 추진 중인 ‘오산 독산성 세마대지 학술발굴조사(1차)’를 통해 이 같은 유적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가유산청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아 진행됐다.
발굴이 이뤄진 세마대 북서쪽 구역에선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의 성토층 ▲신라 말 고려시대의 와적층 ▲조선 후기 내성과 19세기 건물터 등이 잇따라 확인됐다.
특히 정조시대 축성 방식이 잘 드러나는 내성 성벽의 존재는 조선 후기 관방체계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오산시는 발굴조사와 함께 시민 참여 기반도 함께 넓혀 가고 있다.
지난달에는 지역 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고고학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돼 학생들이 직접 발굴 현장을 둘러보고 유물 발굴 과정을 체험하는 뜻깊은 기회를 가졌다.
이번 발굴 성과는 13일 일반 시민과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공개 설명회를 통해 소개될 예정이다.
설명회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현재 오산시 문화예술과를 통해 선착순 신청을 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발굴을 계기로 독산성 내성의 구조와 축성기술, 변화 과정을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할 것”이라며 “수원화성과의 연관성을 포함한 조선 후기 국방시설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는 데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