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표도 원내대표도 ‘친명 vs 친명’… 사실상 이재명 체제 내 경쟁전

image
정청래 의원(왼쪽)-박찬대 원내대표.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3년 만에 여당으로 복귀하면서 새 지도부 선출을 둘러싼 경쟁이 사실상 ‘친명계’ 내부 대결로 전개되는 분위기다. 원내대표 경선이 김병기·서영교 의원 간 맞대결로 압축된 가운데 차기 당대표 주자로 거론되는 인사들 역시 모두 친이재명계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당의 당권 경쟁은 박찬대 당대표 권한대행과 정청래 의원의 양강 구도로 좁혀지는 양상이다. 두 사람 모두 이재명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대표적 친명계 인사들로, 이번 경선은 ‘친명 대 친명’ 구도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박 대행은 원내대표직을 수행하며 혼란스러운 탄핵 이후 정국을 무리 없이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박 권한대행은 대통령과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고 국정 안정이라는 여당의 숙제에도 적합한 카드”라고 평가했다.

 

반면 정 의원은 전투형 리더십을 내세우며 강성 당원 지지층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유튜브와 SNS 등에서 꾸준히 대중적 존재감을 유지해 온 그는 “이기는 정당, 싸우는 리더”를 자임하며 당대표 출마 의사를 시사했다. 특히 온라인 당원 커뮤니티에서는 정 의원을 향한 지지 선언과 응원 게시물이 빠르게 확산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처럼 당대표 경쟁이 친명 대 친명 구도로 흘러가면서 당내에서는 누가 이 대통령의 노선을 더 잘 계승하고, 동시에 여당 대표로서 국정운영 파트너 역할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을지를 두고 의견이 갈리는 모습이다.

 

원내대표 경선 구도도 다르지 않다. 오는 13일 열리는 경선에서는 김병기 의원과 서영교 의원이 맞붙는다.

 

두 후보 모두 친명계로 분류되지만 노선과 스타일 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김 의원은 국가정보원 인사처장을 지낸 안보통 출신으로 지난 2016년 총선에서 인재영입 인사로 정계에 진출했다. 서 의원은 당내 홍보위원장, 원내수석부대표 등을 거치며 조직 정무에 능한 4선 중진으로 당내 여성 리더십의 대표 주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