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선거를 하루 앞둔 2일 주요 대선 후보들은 전국을 누비며 유권자들에게 마지막 한 표를 호소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내란 종식과 민생 회복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독주 저지’와 보수 결집을,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미래세대를 위한 보수 혁신을 내세우면서 각각의 전략과 메시지로 대선 막판 승부를 벌였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수도권에 화력을 집중하며 정권 재창출의 각오를 다졌다. 수도권은 가장 많은 유권자가 모여있는 최대 격전지로, 막판 총력을 통해 이들의 마음을 가져오겠다는 해석이다.
그는 서울 강북구를 시작으로 하남, 성남, 광명, 서울 강서구를 거쳐 여의도공원에서 유세를 마무리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재명이 이기냐, 김문수가 이기냐를 결정하는 선거가 아니다”라며 “내란세력이 복귀한다면 민주주의 파괴가 벌어질 것”이라고 역설했다.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 장악을 막고자 여의도에 모였던 시민들을 상기시키며 ‘계엄 해제’의 상징적 장소를 유세 종착지로 삼은 것 역시 이러한 메시지 강화 전략으로 풀이된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제주에서 출발해 부산, 대구, 대전을 거쳐 서울로 향하는 ‘경부 상행선’으로 막판 승부수를 던졌다. 보수의 전통 강세 지역을 관통하며 지지층을 끌어안고, 서울에서 중도·청년층까지 외연을 넓히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김문수 후보는 유세 현장에서 줄곧 이재명 후보를 겨냥한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이재명 후보가) 특검을 가동해 정치 보복을 하겠다고 한다. 문재인 정권의 국정농단 시즌 2로 이재명 일극 체제를 더 공고히 하겠다는 것”이라며 “대법원 협박에 셀프 방탄법 강행 예고 등 사법부도 자신의 발아래에 두겠다고 한다.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의 위기가 엄습해 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후보는 대구를 유세 종착지로 선택하며 전통 보수 지지기반의 혁신을 호소했다. 시흥과 경북 경산, 대구로 이어지는 일정 속 그는 “계엄과 태극기 부대, 부정선거에서 자유로운 이준석만이 유일한 보수 대안”을 자처하며 차별화된 메시지를 전했다. 특히 학식 먹기 행사와 경북 경산 영남대를 연이어 찾으며 20·30세대의 마지막 표심을 공략하기 위해 사활을 걸었다.
이준석 후보는 김문수 후보와 마찬가지로 이재명 후보와 날을 세웠고, 국민의힘과는 단일화 가능성에 선을 그으며 자신만이 미래세대를 위한 유일한 대안이라는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는 혜화역과 구의역과 강남역 등을 거쳐 보신각에서 유세를 마무리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