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 의혹으로 물든 사전투표…협박 공문에 현장 수기 점검까지

인천지역 사전투표소, 부정선거 의혹으로 몸살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29일 오전 화성시 동탄1동 사전투표소에 유권자들이 사전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일보DB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29일 오전 화성시 동탄1동 사전투표소에 유권자들이 사전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일보DB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두번째 날인 30일 인천지역 사전투표소가 부정선거 의혹으로 몸살을 앓았다.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지역 각 군•구에는 한 시민단체가 만든 ‘귀 기관 소속 공무원 중 투표관리관의 개인도장 날인 및 투표자 신원확인 철저 요청 및 사후 책임 안내의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이 여러 차례 발송됐다.

 

공문에는 ‘투표관리관 또는 사전투표관리관이 개인 도장을 사용할 것’, ‘자신의 도장을 이미지화하거나 컴퓨터 파일로 등록하지 말고 직접 투표 용지에 찍을 것’, ‘선관위에 도장을 절대 맡기지 말고 투표시간이 끝나면 도장을 집으로 가지고 갈 것’ 등 8가지 요구 사항이 적혀 있다. 해당 단체는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고발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편지도 함께 전달했다.

 

이 같은 사실을 전해들은 선거사무원들은 불편함을 넘어 두려움까지 느낀다고 호소했다.

 

한 구청 관계자는 “지난 20대 대선부터 부정선거와 관련한 민원이나 항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이미 선거 지원 업무가 기피업무로 분류된 지 오래”라고 토로했다. 이어 “운이 없으면 괜히 멀쩡히 잘 근무하다가 부정선거 주인공으로 오해받을 지도 몰라 겁난다”고 덧붙였다.

 

또 인천지역 사전투표소에서는 특정 정당 선거참관인 등이 투표 인원을 직접 세다가 전산 시스템과 차이가 나면 항의를 하기도 해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이날 한 사전투표소에서는 참관인이 “내가 센 투표자 수와 전산 상 투표자 수가 다르니, 투표를 멈추고 조사를 해야한다”며 “빨리 사전투표소 전원을 내리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 소란이 일기도 했다.

 

이밖에 투표소 바깥에서 증거를 남긴다는 이유로 투표자 수를 체크하는 단체들도 늘어 혼란을 부추겼다.

 

경찰에 따르면 사전투표소 인근에서 ‘투표를 감시하겠다’면서 집회를 신고한 단체는 5곳에 이른다. 이들은 인천 지역 전체 사전투표수 159곳 중 38곳 인근에서 자리를 잡고 투표 인원을 수기로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이 유권자를 촬영하거나 영상을 찍어 실시간 중계하면서 곳곳에서 다툼이 생기기도 했다.

 

지난 29일 오전 11시40분께 인천 한 행정복지센터에서는 투표소로 들어가던 유권자를 촬영하던 A씨와 선관위 관계자가 초상권 관련 논쟁을 벌이는 등 마찰을 빚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대표성이 없고 타인의 정치적 자유를 훼손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이 같은 행위에 우려를 나타냈다.

 

최창렬 용인대학교 특임교수는 “선거관리위원회 사무를 시민 단체 등이 맡아 하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며 “전문성이 떨어질 뿐더러, 해당 사무를 위임받지 않은 사람들이 이 같은 업무를 맡으면 중립성을 훼손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재묵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역시 “사전투표소 앞에서 인원을 점검하는 행동을 하는 이들에겐 누가 부여한 자격이나 대표성이 없다”며 “개인의 정치 활동은 타인의 자유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부정선거 의혹 제기가 과하다고 판단되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차원에서 고발하고 있다”며 “현장에서도 과하거나 선거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하면 경찰과 협조, 즉시 경찰이 출동해 현장에서 처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투표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