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순간 빛난 ‘돌봄플러그’… 부천지역 치매 어르신 지킨 '결정적인 한 수'

“기술이 감지하고 사람이 확인한다” 위기 속 빛난 ‘돌봄플러그’... 고립없는 도시 실현
-“24시간 감시가 아니라 24시간 안심”…돌봄플러그, 복지현장 바꾸다

image
주택관리공단의 주거복지사가 돌봄플러그의 작동을 확인하고 있다. 부천시 제공

 

부천시의 사물인터넷(IoT) 기반 고령자 안전관리시스템 ‘돌봄플러그’가 시민의 생명과 일상을 지키며 스마트 복지정책의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28일 시에 따르면 돌봄플러그는 전기 사용량과 조명 밝기를 감지해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와 보호자에게 전송하고 현장 확인까지 이뤄지도록 설계된 IoT 기반 장치다.

 

단순히 기계적 감지만으로 그치지 않고 실제 전화 연락, 방문 확인, 응급조치까지 연계돼 작동하는 게 강점이다.

 

이 장치는 부천시의 지역사회 통합돌봄체계의 핵심 인프라다. 현재 중동한라, 덕유, 춘의, 옥길 등 한국토지주택공사(LH) 영구임대아파트단지 네 곳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기준 홀몸어르신 235명이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지난해 기준 부천 인구의 18%가 65세 이상이고 이 중 상당수가 홀몸어르신이다. 부천시는 위기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이들을 위해 돌봄플러그사업으로 촘촘한 돌봄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돌봄플러그의 운영은 단순한 기술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주간에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16명이 실시간 모니터링을 담당하고 야간 및 주말에는 관리사무소 당직자가 이어받는 구조로 365일 24시간 운영된다.

 

이로써 복지 사각지대에서 놓치기 쉬운 위기 상황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상시 대응체계가 완성된 셈이다.

 

모니터링에 참여 중인 한 어르신은 “나이 들어서도 다른 사람을 지킬 수 있다는 게 큰 보람”이라고 말했다.

 

image
홀몸어르신 가정에 설치된 '돌봄플러그'. 부천시 제공

 

이처럼 돌봄플러그는 단순한 안전장치를 넘어 노인의 사회 참여와 자존감을 높이는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다.

 

부천시는 올해 기기 추가 확보와 함께 일반주택 등 위험도가 높은 고령자 가구로 확대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주거복지사, 재가센터, 자활센터 등 민간기관 51곳과 연계된 ‘부천형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를 통해 15종의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돌봄플러그는 이 통합 돌봄의 실시간 감지·반응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은 대외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부천시는 지난해 ‘노인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성과대회’에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과 우수사례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박화복 복지국장은 “고립되는 어르신이 없는 도시, 누구나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스마트 기술과 공동체의 손길이 만나 만들어낸 ‘돌봄플러그’. 이 작지만 정교한 장치는 부천시가 추구하는 ‘촘촘한 복지’의 상징이자 고령화 시대에 꼭 필요한 안전망이 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