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북한의 백령·대청 유네스코 지정 반대 유감”…“북한, 이의신청 제기 이유 밝혀야”

22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백령·대청 유네스코 지질공원 지정 관련 북한 반대에 관해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노재영기자
22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백령·대청 유네스코 지질공원 지정 관련 북한 반대에 관해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노재영기자

 

“백령·대청 지질공원 일대를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 받기 위한 절차를 북한이 가로 막은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2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최근 시가 백령·대청도 일대를 유네스코에 지정 받기 위해 제출한 신청서에 북한이 이의신청을 제기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유 시장은 “이 때문에 백령·대청도 유네스코 지정 작업은 북한과의 협의가 이뤄지기 전까지 사실상 중단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해상 영토임이 분명한 북방한계선(NLL)에 대한 북한의 무력화 의도일 가능성이 높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가이드라인 제5.4(iv)조에 따르면 회원국의 반대 의견이 들어올 경우 지질조사 등 과학적 평가는 중단한다. 또 회원국이 문제 해결을 위한 해결책을 직접 모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시가 준비해 온 오는 6월 예정이었던 현장 실사는 보류됐다. 앞서 시는 지역사회, 전문가들과 함께 백령·대청 지역의 유네스코 지정을 위해 지질학적 가치를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유 시장은 “NLL은 지난 1953년 8월30일 당시 유엔군사령관이었던 마크 클라크가 설정한 경계선으로 사실상 해상경계선이자 군사 분계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연평해전과 천안함 폭침 등 NLL 무력화를 위한 도발을 감행해 이번 이의신청도 그 일환이 아닌지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장으로서 북한이 이 문제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한다”며 “필요하다면 북한 당국과 직접 만나 해결 방안을 논의할 뜻이 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은 북한이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 받는 과정에서 어떠한 이의신청도 하지 않았다”며 “소모적인 영토 문제로 시비 걸지 말고 협조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