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순·인적분할 방식으로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 바이오 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완전히 분리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분할을 통해 순수 지주회사로 신설하는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시밀러 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고객사와 경쟁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는 고객사의 잠재적 우려를 해소하고, 수익 창출 방식이 다른 두 사업에 동시에 투자해야 하는 투자자들을 고려, 분할을 결정했다.또 최근 국제 통상 환경 변화, 약가 인하 등 대외 정책 불확실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바이오CDMO와 바이오시밀러 사업이 혼재한 리스크 요인을 미리 제거하기 위해 분할을 선택했다.
이에 이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적분할 관련 온라인 설명회을 열고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모, 자회사로 묶여 있어 두 회사가 동일한 실체라고 보는 고객사들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사를 설득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했지만 모든 우려를 불식하기엔 현실적 어려움이 컸다”며 “투자 판단이 복잡하다는 의견과 함께 두 사업의 분리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에 따라 분할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회사로 CDMO 사업을 주력으로, 100%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상업화를 추진했다. 두 곳은 다른 사업을 추진하지만 자회사와 모회사로 묶여 있어 투자 결정과 기업 가치 저평가 등 사업 운영 전반의 어려움이 컸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종전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자회사 관리 및 신규 투자를 맡아 온 사업부문을 분할해 설립한다.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이사가 삼성에피스홀딩스 대표이사직을 겸임할 예정이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자회사 관리 및 지원에 따른 수수료를 주 수입원으로, 신기술 관련 투자 사업을 통한 수익 창출을 계획하고 있다. 또 자회사들의 글로벌 협업 체계를 기획해 효율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함께 바이오 기술 플랫폼 구축, 바이오 산업 관련 신사업 기획, 국내외 우수 바이오 기업 발굴 및 육성, 미래 유망 기술 선제적 투자 등을 맡을 방침이다.
분할은 오는 7월29일 증권신고서 제출, 9월16일 분할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개최 등의 절차를 거쳐 이뤄진다. 삼성에피스홀딩스창립 예정일은 10월1일이며,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편입해 분할을 완료한다. 이어 10월 29일 존속 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변경 상장 및 신설 회사인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재상장을 할 예정이다.
이번 기업 분할은 주주가 기존법인과 신설법인의 주식을 지분율에 비례해 나눠 갖게 되는 인적분할 방식으로 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주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과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을 0.6503913 대 0.3496087의 비율로 교부받는다. 분할 비율은 현재 순자산 장부가액을 기준으로 정해졌다.
이번 분할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에피스홀딩스는 각 사업부문별 특성과 전략에 맞는 의사결정과 유연한 사업 추진을 기대하고 있다.
순수 CDMO회사로 거듭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톱티어 CDMO'를 목표로 한 성장 전략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세계 1위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종 이상의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을 확보한다는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이번 분할은 두 회사가 성장을 가속화해 글로벌 톱티어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