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대 반도체 인재양성 특성화…반도체 계측·검사전문가 양성

SeMI DAY 콜로퀴움, 산업 전문가와 학생 간 실질적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
반도체 인재 양성의 허브로 부상 중인 한국공학대학교, 지자체도 주목

한국공학대 반도체인력양성사업단이 최근 대학 내 TU아트센터에서 ‘반도체특성화대학 SeMI DAY, 콜로퀴움’을 개최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공학대 제공
한국공학대 반도체인력양성사업단이 최근 대학 내 TU아트센터에서 ‘반도체특성화대학 SeMI DAY, 콜로퀴움’을 개최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공학대 제공

 

한국공학대학교 반도체인력양성사업단은 최근 반도체 산업의 핵심 기술인 계측 및 검사 분야를 집중 조명하는 ‘반도체특성화대학 SeMI DAY, 콜로퀴움’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한국공대 TU아트센터에서 열린 행사는 첨단 반도체 기술의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들을 대상으로 최신 산업 동향과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세미데이에는 국내 반도체 계측·검사분야를 선도해 온 홍성주 한국 반도체 아카데미 원장(前 SK하이닉스 부사장)이 ‘반도체 산업 동향 및 엔지니어 마인드’, 전충삼 ㈜나노피디엘 대표(前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부사장)가 ‘첨단 반도체 MI 계측검사 이론 및 기술 이슈’, 고진수 코후아시아 부사장(前 테러다인 부사장)이 ‘반도체 소자 테스트장비 최신 기술동향’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전자공학과 3학년 A학생은 “현업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을 수 있어서 진로를 구체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며 “계측·검사 분야의 중요성과 미래 비전을 새롭게 인식하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세미데이는 단순한 강연을 넘어 산업계와 학계, 지자체의 연계 가능성을 보여주는 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흥시 대학협력팀 관계자는 “특화된 프로그램이 지역 인재의 역량을 키우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며 “향후 시와의 협력을 통해 반도체 관련 스타트업 육성 및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번 세미데이는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첨단산업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한국공학대는 국립공주대학교와 함께 2028년까지 동반성장형 특성화대학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한국공학대는 단순한 이론 중심 교육을 넘어서,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을 확고히 다져가고 있다.

 

안승언 사업단장은 “학생들이 산업 현장의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이번 세미데이를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해 나가며, 산업계와 긴밀한 협력 아래 반도체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