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영남서 “박정희는 위대한 지도자”…TK도민 찬사도

"박정희 전 대통령은 위대한 세계적인 지도자"
"나라 어려울 때 대구·경북도민이 구한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3일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 및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3일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 및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3일 영남권 유세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을 “위대한 지도자”로 평하며 TK 민심 결집을 시도했다.

 

전날부터 대구에서 유세를 이어가던 김 후보는 이날도 신암선열공원을 방문해 항일운동가 김태련 지사 등 묘에 참배한 후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경북 선거대책위원회 출정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 후보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젊었을 때는 그를 반대했지만 철이 들어서 내가 잘못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에 가서 ‘당신의 묘소에 침을 뱉던 제가 꽃을 바칩니다’라고 참회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박 전 대통령이 위대한 세계적인 지도자라며 가난을 없애고 세계 최강의 제조, 산업 혁명을 이룬 위대한 대통령이 대구·경북이 낳은 인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그는 대구·경북도민들에 대한 찬사를 이어갔다.

 

경북 영천 출신인 김 후보는 “나라가 어려울 때 대구·경북도민들이 반드시 위기에서 구한다”며 “불굴의 정신, 구국의 정신, 나라 사랑의 정신은 대구·경북 도민 여러분”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산불 피해 지역 복구, 대구·경북 신공항, 군부대 이전, 달빛 철도 추진 등 지역 현안에 대한 공약도 내놓고 “우리 대구·경북의 위상이 전세계 정상들 입에 의해 다 알려질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김 후보는 반려동물 전문 병원을 찾아 관련 국가 지원 확대 등 정책을 논의했다.

 

같은 날 김 후보는 울산, 부산에서 전통시장,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등을 찾아 현장 상황을 살피고 지역 발전에 맞는 공약을 홍보 및 제시할 계획을 세웠다.

 

김 후보는 부산에서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 지지 선언식, 선대위 출정식에 참석한 후 다음날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선거운동을 끝낼 예정이다.

 

한편 같은 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도 대구·경북 지역을 찾아 민심 공략에 나섰다.

 

이재명 후보 입장에서 '험지'인 TK 지역 민심을 끌어올리기 위해 그는 구미, 대구, 포항, 울산을 돌며 집중 유세를 벌였다. 그는 경북 구미역 광장에서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고 김대중 정책이면 어떤가. 필요하면 쓰고 불필요하면 버리는 거다"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이 민주주의 말살한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한편으로 산업화를 이끌어 낸 공도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제가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경북 안동 물을 먹고, 풀과 쌀을 먹고 자랐는데 왜 저는 이렇게 이 동네에서 20%의 지지도 못 받을까”라며 “‘우리가 남이가’라는 소리는 많이 들었는데 왜 이재명에 대해서는 ‘우리가 남이가’라는 소리를 안 해주냐”고 호소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도 대구를 찾아 "대구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후보는 바로 나"라고 외쳤다.

 

그러면서 김 후보에 대한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그는 김 후보에 대해 "이미 2016년 20대 총선에서 대구에 출마해 수성구에서 김부겸 전 총리에게 큰 표차로 낙선한 적 있다"며 "김 후보는 그 당시에도 대구 미래를 이끌기엔 이미 한 번 흘러간 물이라고 (대구 시민들이) 판단한 것"이라고 일갈했다.

 

이재명 후보의 TK 행보 강화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갖는 건 나쁘지 않으나, 지금까지 대구·경북 숙원사업을 도외시하고 분열을 조장한 건 대구·경북 시민이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구 북구 경북대에서 학생들과 만나기 전 기자들에게 "대구·경북 중심으로 김문수 후보에 대한 사표를 거두고 하루빨리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이준석으로 대동단결해야 이재명 독주를 막을 수 있는 선거 분위기가 생긴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