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가 가진 힘이 커요. 요즘 아이들은 마음껏 놀 기회조차 없잖아요. 그 안에 자연을 담는 거예요.”
성남에 거주 중인 장혜란씨(46)는 올해로 환경교육 활동을 시작한 지 4년째다. ‘환경교육사’라는 국가자격증을 취득하면서 본격적으로 자연과 생태, 그리고 아이들을 연결하는 생태놀이 교육 봉사에 발을 들였다. 단순한 수업을 넘어선 그의 활동은 돌봄교실, 방과후, 유치원, 초등학교를 넘나들며 아이들에게 놀이를 통해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데 집중돼 있다.
그는 2023년 여름부터 이 같은 환경교육 봉사를 시작했다. 여름엔 아이들과 곤충이 돼보고 가을에는 낙엽을 관찰하며 계절의 변화를 아이들에게 설명했다.
수업을 위해선 자연물 수집부터 준비물 확보까지 손이 많이 간다. 5세부터 초등 2학년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지만 주제는 ‘자연’이다. 때로는 한 학교에서 18차례 수업을 진행하기도 했고 병설유치원에서는 연령별 수업을 반복하며 깊이를 더했다.
장씨는 이런 교육을 자원봉사의 일종이라고 설명한다.
학교에 나가 아이들에게 자연이 주는 깊이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어릴 때부터 아이들에게 전달하자는 의미다. 그래서 수업에서도 되도록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다.
그는 “교육은 직접 해봐야 그 기분을 안다”며 “지금 하고 있는 환경교육은 봉사이지만 내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적막한 공간을 따뜻하게 바꾸는 방식을 알려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환경교육사로서의 활동은 장씨에게 사명감 이상의 의미다. 자신의 아이가 있어 시작된 관심이었고 지금은 스스로의 철학이 됐다. 기후PD, 환경학자인 제인 구달 박사와의 연계 활동, 뿌리와새싹 커뮤니티 참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장씨는 환경과 교육을 잇는 다리 역할을 자처한다.
성남을 제2의 고향이라 부르는 장씨는 오늘도 새로운 활동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이들과 자연을 이어주는 수업, 환경을 지키는 봉사, 그리고 자신만의 철학이 담긴 삶이라고 한다.
장씨는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생태감수성을 갖는 건 결국 우리 삶의 문제이기도 하다”며 “사람들은 적막감이 흐르는 일상에서 자연을 보면서 치유하기도 한다.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자연이 주는 힘을 알리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