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조직개편안, 의회 본회의 통과

image
지난 11일 오전 용인특례시의회에서 김진석 자치행정위원장을 비롯한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상정된 안건을 검토하고 있다. 용인특례시의회 제공

 

광역시급 행정체계 구축을 위해 용인특례시가 시의회에 상정한 조직개편안이 본회의 문턱을 넘었다.

 

14일 시에 따르면 이번 시의회 임시회에 조직개편안을 상정했다. 향후 150여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의 변화와 급증하는 행정 수요에 대응하고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비롯한 대규모 도시 발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다.

 

시의 조직개편안은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행정조직을 갖추자는 취지다. 특히 시 직원 1인당 행정 수요가 많은 현실에서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등 효율적인 행정 환경을 갖추는 데 초점을 뒀다.

 

이 같은 조직개편안이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시에는 2국 3과 1동, 18개팀이 신설된다.

 

특례시 권한 확대를 고려해 자치행정국을 신설했으며 교육문화체육관광국은 교육청년여성국과 문화체육관광국으로 분리했다.

 

기획조정실은 당초 정책·예산·인사·법무를 담당하도록 개편이 추진됐으나 의회 자치행정위 심의 과정에서 인사 업무를 자치행정국이 맡는 것으로 수정 가결됐다. 교육청년여성국의 청년정책과와 평생교육과의 직제 순위는 서로 바뀌었다.

 

이어 미디어담당관과 재난대응담당관이 신설되고 인구 5만을 넘어선 유림동이 유림1동과 유림2동으로 분동된다. 처인구 사회복지과는 사회복지과와 가정복지과로 나뉜다.

 

시 관계자는 “조직개편으로 인한 업무 분리 후에도 부서 간 협업체계를 구축해 조직개편 이전부터 시행하던 사업과 향후 진행할 정책에 대해선 연속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11일 열린 의회 자치행정위원회 회의에서 의원들은 인사관리과가 기획조정실 산하에 배치된 원안에 대해 날카로운 지적을 이어간 바 있다.

 

박병민 의원은 “수원처럼 기획조정실 하나만 있으면 모르겠지만 기획조정실과 행정국이 분리된 지자체는 인사과를 행정국에 두지 않느냐. 그렇다면 왜 용인시는 인사과가 기획조정실 안에 들어가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인사과가 기획조정실에 있는 게 어떤 행정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인가”라고 질의했다.

 

안지현 의원도 “효율성 제고에 반대한다는 게 아니라 이 같은 안으로 갈 경우 예산이나 인사 문제에서 리스크가 생겼을 경우 대응 방안이 필요한 것 아니냐”고 진단했다.

 

이에 황규섭 기획조정실장은 “의회 측에서 조직개편안을 수정 발의하면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