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이상 당비 납부 권리당원에 안심번호 추출 국민선거인단 참여 경선 김동연, 김두관 등 비명계 주자 "무늬만 경선에 일방적 결정"비판
더불어민주당이 조기 대선의 경선룰을 ‘당원 비율 50%, 국민 여론조사 50%’로 확정했다. 권리당원 투표에는 정당사상 처음으로 16∼18세 '청소년 당원'이 참여한다.
이에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비민주적 결정”이라며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이춘석 대선당규준비위원회 위원장은 12일 오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번 대선에 우리 민주당은 또 한 번의 변화를 맞이했다”며 "경선룰 결정 내용을 공개했다.
지난 대선 경선 때 적용했던 국민선거인단 방식이 아니라 일반 국민여론조사를 도입하는 내용이 골자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걸쳐 순회 경선을 치르기로 했다. 아직 순회경선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
이번 권리당원 투표에는 16∼18세 당원도 최초로 동참한다. 이들 청소년 당원을 포함해 경선일로부터 12개월 이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110만여명이 권리당원 투표 참여 대상이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한다.
이 위원장은 “우리 당이 2012년 완전국민경선을 시행한 이후 13년의 세월이 흘렀다”며 “그 사이 민주당 위상이 변했고 당시 11만명이던 권리당원이 현재는 120만명에 육박한다”고 전했다.
이어 민주당이 민의를 받들 수 있는 대중 정당의 토대를 확보했다는 점을 부각하며 “정당 주인인 당원들의 후보 선출 권리 강화가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확실한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비명계로 분류되는 후보자들이 민주당의 확정된 경선룰에 반발하는 것에 대해선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과 갑자기 대선이 열리는 시간적 급박성을 고려해 지금의 경선 방식이 도출됐다”고 덧붙였다.
비명계 주자들은 이 같은 결정에 대해 “무늬만 경선"이라거나 일방적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 고영인 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김동연 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된 16대 대선 경선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된 20대 대선 경선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국민경선 포기는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백 대변인은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선 절대 안 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에 숙고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