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의, 194곳 대상 관련 조사 140곳 우려… 내수기업도 영향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인천 기업의 72.4%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2일 인천상공회의소가 인천의 기업 194곳 대상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조치가 인천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40곳(72.2%)가 약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이중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은 115곳(59.4%),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곳은 25곳(13%)다.
반면, 미국 관세 폭탄으로 인한 반사이익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답변은 3곳(1.6%)에 그친다.
인천상의는 미국으로 완제품을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수출품에 들어가는 부품·원자재 생산기업, 중국으로의 부품·원자재 수출기업, 그리고 내수기업까지 영향을 우려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 기업들의 주요 수출입 유형은 미국에 완제품을 직접 수출하는 기업이 24.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22%),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11.3%),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9.9%) 순이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이 구체화했을 경우 간접 영향으로 인한 기업 매출 감소를 우려하는 기업들이 46.9%로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17.2%),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2.4%),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7%)가 뒤를 이었다.
인천의 미국 수출액은 지난 2024년 기준 109억3천600만달러로, 전체 수출액(595억2천400만달러)의 18.4%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인천상의는 자동차, 철강 등 주요 품목이 관세 대상에 들어가고, 반도체와 의약품에도 관세 부과가 가능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의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원가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하거나 현지생산, 시장다각화 등을 고려 중인 기업은 23.8%에 그치고 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인천은 미국, 중국 수출 비중이 커 이번 미국의 관세 조치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기업이 개별적으로 대응하기 힘들기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피해 업종에 대한 세제·금융 등 자금지원, 판로 개척 지원, 내수 진작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