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의열 시의원, 문화공간 제안에 市, 관련 부서 협의 후 추진 입장 “예산 확보 등 조속 시행 어려워”
부천시청 앞 소향로를 주말 ‘차 없는 거리’로 다시 운영하자는 시민들의 요구와 시의원의 시정질문에도 불구하고 부천시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부천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최의열 시의원(더불어민주당·아선거구)은 최근 열린 시의회 제282회 임시회에서 중앙공원과 시청 잔디광장을 하나의 열린 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주말 ‘차 없는 거리’ 운영 재개를 제안했다.
최 의원은 “두 공원이 소향로에 의해 단절돼 있어 각종 문화 행사의 확장성과 접근성에 제약이 크다”며 “차 없는 거리 조성으로 시민과 예술인이 함께하는 문화공간으로 만들자”고 강조했다.
실제 소향로 500m 구간은 1999년부터 2015년까지 주말마다 차 없는 거리로 운영돼 각종 공연과 축제의 무대가 됐으나 코로나19 이후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이에 차 없는 거리 문화·체험 공간을 누렸던 시민들은 “주말에 아이들과 나들이 삼아 공연도 즐기고 자유롭게 쉴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 사라졌다”며 부활을 요구하고 있다.
시는 여전히 소극적인 자세를 보인다. 시는 답변에서 “올해는 ‘차 없는 거리’가 다양한 행사에 운영될 수 있도록 버스킹, 플리마켓, 체험프로그램 등 부서별 협업 가능한 행사를 연계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차 없는 거리’의 장기적 운영 여부에 대해선 “교통 영향 분석, 지역주민 의견 수렴, 예산 반영 등 관계 부서와 협의를 거쳐 단계별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시민 편의를 위한 중앙공원과 시청 잔디광장 간 연계 보행 동선 개선에 대해서도 “차도와 보도는 법적으로 분리돼야 하며 높이 조정에는 안전 펜스 등 시설 설치가 필요하다”며 사실상 예산 확보와 공사 등을 이유로 조속한 시행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이다.
시의 이 같은 태도에 시민들의 반응은 냉소적이다. 시민 A씨(45)는 “20년 넘게 시민들이 사랑한 공간을 행정편의주의로 방치하고 있다”며 “도심 속 휴식 공간을 시민 품으로 돌려주는 것이 시의 역할 아니냐”고 비판했다.
최 의원은 “시민들은 마음껏 뛰놀고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원하고 있다”며 “정주의식 향상과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시는 하루빨리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현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한편 문화도시 부천을 지향하며 축제 통합 브랜드 ‘부천페스타’를 추진하는 시가 정작 시민 체감형 문화 기반 조성에는 소홀히 해 모습을 보여 시정의 이중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