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항 증심 등 글로벌항 토대
“지난 15년간 인천항 발전을 위해 이뤄낸 모든 성과들은 인천시민들과 정치권 등이 모두 힘을 합쳐 준 덕분입니다.”
이귀복 ㈔인천항발전협의회 회장(78)이 이달 말 15년간의 임기를 마친다. 강화에서 태어난 이 회장은 제물포고등학교를 졸업한 인천 토박이로 50여년을 바다와 함께, 이 중 30여년을 인천항 발전을 위해 삶을 보냈다.
이 회장은 1972년 한국해양대학교를 졸업한 뒤부터 1994년까지 23년간 항해사와 선장으로 바다에서 생활했다. 이후 1995년 도선사로 자리를 옮겨 2015년까지 20여년간 인천항도선사회 도선사로, 2010년부터는 인천항발전협의회 회장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이 회장은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인천신항을 조성하며 해양수산부가 계획한 수심 14m를 16m로 변경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심 14m는 동남아를 오가는 6천TEU급 선박만 다닐 수 있는 수준”이라며 “미주나 유럽을 오가는 8천TEU급 선박이 인천항에 드나들기 위해서는 최소 수심 16m 이상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3년여간 기재부 등 중앙정부와 협의하고, 인천에서도 시민사회, 정치권과 힘을 모아 노력한 결과 지금은 인천항에 미국으로 향하는 선박이 들어오고 있다”고 했다.
이 회장은 차기 신임 회장이 반드시 추진해야 할 정책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 회장은 “인천항 배후단지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해야 하고, 인천도시철도(지하철) 1호선을 신국제여객터미널까지 연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천항 크루즈터미널 인근 국제항만대로의 가로수를 특화해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며 “또 인천을 모항으로 하는 크루즈 유치 등을 위해 선용품센터도 건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인천시민의 염원 가운데 하나인 해사전문법원 인천 유치도 지역사회가 한 목소리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인천항에 입항하는 크루즈 승객이 지역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관광 인프라 마련도 시급하다”고 했다.
내일 모레 나이 80을 바라보는 이 회장은 이제 건강에 조금 더 신경쓰면서 우리나라 선장들의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이 회장은 “나이가 나이인 만큼, 이제는 건강 관리가 최고”라며 “다만, 현재 한국선장포럼 대표를 맡고 있기에 해양산업에서 선장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항발전협의회는 한성라인, 장금상선, 대한해운 등의 선사와 SK인천석유화학, 두산인프라코어 등의 화주, 하역사들, 항운노조, 항만 관련 협회 및 업,단체 등이 모인 인천의 대표 항만 협의체다. 인천항 발전을 위해 중앙정부에 정책 건의를 하고, 이를 관철하기 위해 인천 지역사회와 함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