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연장기한 놓고...항만公·민간사업자 ‘대립각’

미합의 시 법적 분쟁 확산 우려
IPA “카마존 무책임… 대응 염두”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 조감도. 경기일보DB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 조감도. 경기일보DB

 

인천항만공사(IPA)가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사업의 민간사업자에 대한 자금 조달 기한 연장(경기일보 2월 5일자 1면)을 해준 가운데, IPA와 민간사업자가 연장 기한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IPA와 민간사업자 간 입장 차이가 커 자칫 합의를 이루지 못해 법정 분쟁으로의 확산 우려가 나오고 있다.

 

25일 IPA와 민간사업자 카마존㈜ 등에 따르면 최근 카마존은 자기 자본 증자 기한을 14개월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서를 IPA에 전달했다.

 

카마존 관계자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늦어진 행정 절차 기간 등을 반영하면 14개월이 맞다”며 “IPA와 기한에 대해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대한 협의해 합리적인 선에서 조율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IPA는 지난 2024년 말까지인 카마존의 자기 자본 증자 기한을 6개월 연장해 주겠다고 카마존에 통보했다. IPA 관계자는 “지난해 말까지인 기한을 6개월 연장해 줬으니 이제는 카마존이 자본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6개월 이후엔 해지를 검토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역 안팎에서는 IPA와 카마존 간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IPA의 통보 기한인 6월30일 이후 법적 분쟁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IPA 관계자는 “카마존이 14개월을 고수하고, 최근 문서까지 보낸 것은 너무나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법적 대응까지 염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IPA는 지난 2023년 1월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카마존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이어 같은 해 5월 컨소시엄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카마존㈜과 사업 추진계약을 했다. 당시 최초 계약에는 2023년 11월까지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의 실시계획 승인을 끝내고, 2024년 12월까지 카마존이 총 사업비의 20%를 자기자본으로 조달하는 것으로 명시했다. 이에 따라 카마존은 스마트 오토밸리의 총 사업비 2천480억원 중 20%인 496억원을 마련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50억원만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관련기사 :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무산 고비 넘겨… 자금 조달 여전히 미지수

https://kyeonggi.com/article/20250204580277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