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뉴욕주립대 수석 합격' 문지성군,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어요"

image
뉴욕대학에 합격한 문지성 학생. 김형표기자

 

“외국에서 학교를 다녀서인지 국내 학교문화에 적응하는 데 힘들었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이란 이름표를 달았지만 주변 사람들의 도움으로 올해 뉴욕대에 입학하게 됐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이 어려운 가정환경에도 불구하고 독학으로 인천 송도에 있는 뉴욕대에 수석 합격해 화제다. 화제의 주인공은 문지성군(16). 그는 올해 뉴욕대 입학으로 또래 친구보다 2년 일찍 대학에 들어가게 된 셈이다.

 

문군은 부친이 직장을 해외로 옮기면서 네 살 때부터 호주에서 생활했다. 호주에서 초등학교를 6년을 다니다 지난 2020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중학교를 다녔다.

 

문군은 우리나라 학교문화에 적응이 어려웠다고 한다. 일단 언어 문제로 학교 공부에 어려움이 있었고 호주와 한국의 학교문화 차이가 너무 컸기 때문이다.

 

문군은 부모와 상의한 끝에 대안학교를 선택했지만 가정형편이 어려워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어려운 상황에 처한 그는 과천시 청소년 육성재단 상담실을 찾으면서 작은 희망의 지푸라기를 잡는다.

 

재단에서 다른 학교 밖 학생과 어울리면서 심리적 안정을 찾기 시작했고 상담을 지속하면서 대학을 갈 수 있는 검정고시를 준비했다. 문군은 지난해 검정고시를 통해 고등학교를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바로 대학시험에 도전했다.

 

문군은 지난해 대학시험에서 SAT 1천600점 만점에 1천590점을 받았고 토플도 120점 만점에 116점을 받아 뉴욕대에 수석 합격한 것이다.

 

과천시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이은주 팀원은 “문군이 상담실을 찾았을 때 언어 등의 문제로 국내 학교 적응이 어려운 상태였다”며 “하지만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안정감을 찾았고 다시 공부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던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퇴학이나 자퇴 등으로 정규 교육과정을 마치지 못한 청소년을 학교 밖 청소년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과천에만 200여명이 등록돼 있다”며 “문군도 학교 밖 청소년이었지만 자신의 노력으로 뉴욕대에 수석 합격해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작은 희망을 줬다”고 귀띔했다.

 

문군은 3년 장학생으로 송도 뉴욕대에서 공부하고 나머지 1년은 미국 뉴욕대를 다닌다. 그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성공하겠다는 각오다.

 

문군은 “인공지능(AI), 반도체 등에 관심이 많아 전자정보학과에 입학했다. 앞으로 제2의 빌 게이츠가 되는 게 꿈”이라며 “학교 졸업 후 스타트업 관련 회사를 창업해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청소년들을 돕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