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뉴얼 정비… 유산보호 활동 연속성 높여야” [사라져가는 국가유산지킴이]

국가유산지킴이 수난 ‘문화재 돌봄 사업’과 역할 중복, 지원 전무

image
남한산성국가유산지킴이가 남한산성 정화 활동을 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제공

 

경기도 국가유산지킴이가 ‘유산 보호’라는 제 역할을 수행하고, 이의 지속적인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선 활동 매뉴얼 등 시스템을 정비해 제도의 실효성과 연속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원봉사자의 개념인 국가유산지킴이는 청소 도구, 보수 장비, 홍보용 리플렛 등을 사비를 털어 준비한다. 국가유산 관리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원이 전무해 지킴이의 봉사정신, 사명감 등에 의지하고 있는 셈이다.

 

경기도에서도 이런 상황을 고려해 지난 2023년 10월 ‘경기도 국가유산지킴이 활동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지킴이 활동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보장했으나, 지원이 이뤄진 적은 없다.

 

반면 유사한 조례가 제정된 충청북도는 올해 단양에서 열리는 ‘국가유산지킴이 전국대회’에 4천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 2011년 보은, 2015년 청주에서 열린 전국대회에 이어 세 번째 지원이다. 충북은 이같은 지원을 통해 지킴이 활동을 대중에게도 홍보·공유하고 단양의 문화유산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충청남도 역시 ‘국가유산지킴이 단체 활동 지원’ 사업으로 올해부터 지킴이 프로그램을 발굴하는 데 1천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자체의 협력으로 지킴이 활동을 보장하는 동시에 이들의 활동 일정, 성과, 이력 등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마련해 지킴이 제도의 활용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경기도는 전국 17개 시·도 중 여섯 번째로 국가유산이 많고 관할 지역이 넓어 행정 인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 국가유산지킴이의 손길이 더욱 아쉬운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으로 유산의 보호 범위가 지정문화재·등록문화재 중심에서 비지정 문화유산까지 확대됐는데, 비지정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공식 활동하는 단체는 국가유산지킴이가 유일하다.

 

류호철 안양대 교양대학 교수는 “우리나라는 문화유산의 현장 관리 주체가 없어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고 자발적으로 가꿔나가는 지킴이의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킴이 활동이 지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최소한의 도구를 지원하고, 국가유산 출입을 허가해주는 등 활동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또 우수한 지킴이를 위한 포상·교육을 확대해 공공성과 전문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국가유산지킴이 관련 조례가 2년 전 만들어져 준비가 미흡했다”며 “경기지역 지킴이들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지킴이는 ‘국가유산을 가꾸는 문화’, 성숙한 시민의식을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제도”라며 “재교육 시스템 등을 도입해 제도를 체계화해 나가는 중이다. 지킴이 제도가 더 안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운영될 방안을 찾겠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 출입금지에 모욕… 국가유산지킴이 ‘수난’ [사라져가는 국가유산지킴이]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21580403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