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출범…인천 기업 66% 관세 확대 탓 '부정적'

imag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AFP·연합뉴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0일(현지시간) 취임 첫날 행정명령을 대거 쏟아낼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인천의 기업 절반 이상이 관세 확대 등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20일 인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인천의 기업 168곳을 대상으로 2025년 경제·경영 전망을 조사한 결과, 110곳(66%)이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이 기업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긍정적으로 내다본 기업은 5.1%에 그친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공약으로는 보편·상호관세 확대와 보호무역 지향 등 통상 정책이 45.7%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공급망 정책(24.7%), 대중 정책’(22.8%), 보조금 정책(3.1%), 환경 정책(3.1%) 순이다.

 

도널드 트럼프 제47대 미국 대통령 당선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 인천상공회의소 제공
도널드 트럼프 제47대 미국 대통령 당선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 인천상공회의소 제공

 

이 때문에 인천의 주요 산업계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나올 행정명령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인천의 자동차 부품 업계는 전기차 등 미래차 확대 속도를 늦추겠다는 기조로 인한 혼란이, 반도체 업계는 사실상 없던 관세가 생기면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반면,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의약품 업계는 미국의 중국 바이오 제품 관세 인상에 따른 반사 이익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은 국내의 경제·사회적 양극화 문제와 미 트럼프 정부의 통상정책 등이 대내외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리스크 요인으로는 경제·사회 양극화 심화가 28.3%를 차지했다. 이어 물가 변동성 확대(22.8%), 건설·부동산 시장 위축(16.3%) 등이다. 대외 리스크 요인은 트럼프 2기 통상정책이 33.8%로 가장 높았으며, 유가·원자재가 변동성(13.8%), 한국 수출·산업경쟁력 약화(12.8%) 등이 뒤를 이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인천의 수출은 중국과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수출 규제 조치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수경기 진작은 물론 공급망 리스크 재발 방지, 환율 안정화, 수출 기업 지원 확대 등의 선제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