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소매유통업계, 경기전망 부진 우려…소비심리 회복 지연·트럼프 불확실성 탓

인천 남동구 인천상공회의소. 인천상공회의소 제공
인천 남동구 인천상공회의소. 인천상공회의소 제공

 

인천지역 소매유통업계가 소비심리 악화와 트럼프 정부 2기 불확실성 등으로 올해도 경기부진이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16일 인천상의에 따르면 인천지역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 소매유통업체 65개사를 대상으로 2025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RBSI)를 조사한 결과, 83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전망지수는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다음 분기의 경기를 전망하는 지표다. 100을 초과하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미만이면 경기가 악화할 것으로 본다.

 

매출 전망 역시 65로 기준치에 비해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수익 전망도 7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상의는 국내 정치적 불안에 따른 소비 심리 악화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또 트럼프 정부 2기를 앞두고 대외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인천지역 소매유통업계는 올해 1분기 경영 활동의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인건비 등 비용 부담(43.1%)을 꼽았다. 이어 시장 경쟁 심화(27.7%),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15.4%)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으로는 소비심리 회복 지연(29.2%)과 관세부과 등 도널드 트럼프 정부 정책 불확실성(29.2%)이라고 답했다.

 

또 소매유통업계 대부분이 트럼프 정부 정책이 국내 유통시장에 부정적 영향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2기 정책이 국내 유통시장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 86.1%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국내 주식시장 하락 등 경제 전반의 부정적 파급 효과가 42.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어 미국 보호무역 정책에 따른 수출 둔화(33.9%),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32.1%) 등이 뒤를 이었다.

 

인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내수 활성화를 위한 자금 투입과 함께 소상공인과 유통업체에 대한 맞춤형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지자체, 경제단체, 지역사회가 모두가 협력해 소비심리를 회복시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