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최근 송도 센트럴파크호텔에서 ‘인천반도체포럼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열고 반도체산업 미래를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지난 2021년 12월 시 반도체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인천반도체포럼’을 출범했다. 현재 산업계, 유관기관, 연구기관, 대학, 고등학교 등 48개 기관이 회원사로 함께 참여하며 반도체 산업 전반에 걸친 네트워크를 만들고 있다.
이번 포럼은 인천반도체포럼 주최, 인천반도체포럼·인천테크노파크(TP) 주관, 시 후원으로 개최했고 회원사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반도체 발전 유공표창 수여, 제2회 정기총회, 전문가 초청 세미나, 패널토의 등의 순으로 이뤄졌다.
개회사는 인천반도체포럼 회장사인 김원규 (유)스태츠칩팩코리아의 대표가 맡았다. 하병필 시 행정부시장의 환영사와 김유곤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장(국민의힘·서구3)의 축사도 이어졌다.
본격적으로 세미나를 시작하기 전, 반도체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 표창을 수여했다. 강진구 인하대학교 교수, 박지용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사, 유상혁 ㈜크레셈 부사장, 박용준 (재)인천테크노파크 연구원, 최리노 인하대학교 교수 등이 수상했다.
이어 인천반도체포럼 사무국인 인천TP 녹색융합센터 임현용 센터장이 2024년도 포럼 실적과 2025년도 계획을 공유했다. 올해는 지난해 한 기술교류회 뿐만 아니라 기업설명회, 학술대회 등 더 다양한 활동을 계획에 추가했다.
세미나에서는 강사윤 인하대학교 특임교수가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이 반도체 및 패키지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강연했다. 강 교수는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기술이 반도체 패키징에 미칠 혁신을 설명하며 반도체 패키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정호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PD가 ‘2025년 산업기술 연구개발(R&D) 반도체공정 장비분야 투자방향’을 주제로 강연했다. 첨단반도체 제조를 위한 핵심 공정장비 기술과 정부 투자방향 및 과제동향을 소개했다.
세미나가 끝난 뒤는 패널토의 시간을 마련했다. 회원사 관계자들이 지역 반도체 산업 발전 방향과 산업계 정책지원 수요를 논의했다. 최 교수의 사회로 열린 토론에는 김종수 ㈜포토메카닉 대표이사, 김민지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교수, 고용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첨단반도체패키징집적센터장, 박혜윤 시 반도체산업팀장이 패널로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참가자들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기적인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반도체 기술 발전을 모색했다. 또한 기업들의 실질적인 정책지원 수요를 반영한 지자체 정책방향과 실행방안 등도 논의했다.
하병필 부시장은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번 포럼처럼 민·관이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계 목소리를 바탕으로 반도체 강국 도약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지원 및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