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 셀트리온 ‘3공장’ 상업생산 돌입…25만ℓ 생산 역량 갖춰

셀트리온 로고.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 로고.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은 인천 송도에 있는 제3공장이 원료의약품(DS)의 상업 생산에 돌입했다고 5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2021년 9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2천700억원을 들여 연면적 2만2천300㎡(6천760평), 지상 5층 총 6만ℓ 규모의 제3공장을 준공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은 10만ℓ 규모의 제1공장과 9만ℓ 규모의 제2공장에 더해 총 25만ℓ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갖춘다.

 

3공장은 변화하는 바이오의약품 트랜드에 맞춰 시장 변화와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에 초점을 맞췄다. 또 같은 양의 배양액에서도 더 많은 바이오의약품을 만들 수 있도록 효율을 높이는 고역가(High titer) 제품을 생산해 경제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3공장에 7천500ℓ 배양기 총 8개를 배치하고, 세포 증식 단계를 단축하는 신규 배양 공정 설비와 자동화 기술 확대 등 최신 기술을 집약했다. 오염에 취약한 구역을 ‘클린 룸’으로 구성하고 정제 과정에는 고농축 희석 방식을 적용, 배관·탱크 크기 등을 최적화했다. 일부 장비는 국산화를 통해 유지 보수성을 높였다.

 

셀트리온은 3공장이 본격적인 상업생산 단계에 접어들면서 신규 바이오시밀러와 후속 파이프라인도 생산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셀트리온은 1·2공장에서 종전 제품의 상업 생산을 하고, 3공장에서 기존 제품과 신제품 생산을 함께 해 가동률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셀트리온은 오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송도 캠퍼스 내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을 짓고 있다. DP공장은 오는 2027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 체계에 착수할 예정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다품종 소량생산 체계로 생산유연성과 효율을 극대화하고 고품질 바이오의약품을 전 세계에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