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 확대 ‘첫발’

총량제 대비 1·2단계 분리 지정 방침
경제청, 산업부에 자문회의 요청 예정
수출 관련 기업과 원활한 접촉 강조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위치도. 인천경제청 제공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위치도. 인천경제청 제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강화남단의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확대에 첫 발을 내딛는다.

 

1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개발계획수립 용역을 시작으로 인천 강화군 화도·길상·양도면 일원 20.26km²(610만평)을 IFEZ로 지정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FEZ(경제자유구역) 총량제를 감안해 1단계 10.03km²(303만평), 2단계 10.23km(307만평)로 나눠 IFEZ 지정을 할 방침이다.

 

인천경제청은 조만간 산업통상자원부에 FEZ 지정 자문회의 개최를 요청할 계획이다. 자문회의는 FEZ 지정을 추진하는 1번째 행정 절차다. 인천경제청은 자문회의에서 나온 의견들을 보완해 오는 12월 중으로 산자부에 강화남단의 IFEZ 지정을 정식으로 신청할 방침이다.

 

인천경제청은 농림축산식품부를 설득하는 것이 IFEZ 지정의 관건으로 보고 있다. 1단계 구역의 경우 전체 면적 중 87%(8.7㎢)가 농작물 경작만 가능한 농업진흥구역(절대농지)으로 묶여 있기 때문이다. 앞서 농림부는 줄어드는 농지 감소에 대한 방안 마련을 요구했고, 인천경제청은 스마트팜 등을 조성하고 농촌지역 인구 소멸 등에 대비해 농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산자부에 뚜렷한 투자유치계획을 제출해야 하는 것도 숙제다. 산업부는 지난 2018년 무분별한 지정과 투자 가치 하락 등을 막기 위해 FEZ의 최대 지정 면적을 580㎢에서 360㎢로 축소했다. 이 때문에 산업유치계획 수립, 투자의향 파악 등은 산업부를 설득하는데 필수적 조건이다.

 

현재 인천경제청은 강화남단이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가까운 만큼, 농산물, 화훼 등을 빠르게 수출할 수 있어 관련 기업 유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인천경제청은 투자유치를 위한 별도의 조직이 있는 점, 그리고 IFEZ 지정이 이뤄지면 투자 의향이 있는 기업과 이미 접촉하고 있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농림부와 산업부를 설득하고 다른 지자체와 비교했을 때 강화남단의 이점을 차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심의 기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강화남단은 경제·산업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통일·안보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꼭 IFEZ로 지정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경제청은 오는 2025년까지 1단계 구역에 대한 IFEZ 개발계획 승인 및 구역 지정을 끝낸 뒤 그린바이오와 화훼 등 스마트농업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교통·물류 체계를 꾸려 강화의 역사문화 관광지구와 K-컬처 클러스터, 해양 정원 등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