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4단계 확장사업 마치고 세계 3대 메가허브 공항 발돋음…그랜드 오프닝 행사 열어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이 29일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열린 그랜드 오프닝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병기기자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이 29일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열린 그랜드 오프닝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병기기자

 

인천국제공항이 4단계 확장 사업을 마치고 여객 1억명을 수용하는 세계 3대 메가허브 공항으로 발돋움한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9일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3층 출국장에서 ‘인천공항 4단계 그랜드 오프닝 행사’를 했다. 4단계 확장 공간의 정식 운영은 오는 12월3일이다.

 

이날은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유정복 인천시장, 이학재 공항공사 사장,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인천 남동구갑), 배준영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공항 관계자 등 800여명이 참석했다.

 

인천공항은 지난 2017년부터 총 사업비 4조8천억원을 투입해 4단계 확장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제4활주로 및 계류장 75곳(여객 62곳, 화물 13곳)을 신설하고, 제2여객터미널(T2)을 확장하는 사업이다.

 

공항공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제4활주로를 추가하고 여객 터미널을 대폭 확장해 연간 여객 1억600만명(종전 7천700만명, 국제선 기준)을 수용할 수 있는 세계 3위 공항으로 도약했다. 특히 세계 최초로 국제여객 5천만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여객터미널 3개를 보유하게 됐다. 여객뿐 아니라 화물처리 능력도 종전 500만t에서 630만t까지 증설, 세계 2위의 항공 물류 능력을 구축하는 등 국내 반도체 수출의 98%를 처리하는 반도체 물류 허브 입지를 견고히 했다.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조감도. 공항공사 제공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조감도. 공항공사 제공

 

이 밖에도 항공정비산업(MRO)과 화물터미널, 관광·문화 융복합 시설 등과 새로운 항공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해 약 1조7천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는 등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공항공사는 전망하고 있다.

 

공항공사는 4단계 사업을 통해 스마트 보안 서비스를 대폭 강화, 보안 검색 및 탑승 수속 과정에서 여객들에게 더욱 신속하고 편리한 공항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먼저 인공지능(AI)과 생체 인식을 활용한 ‘스마트패스’ 시스템을 도입, 여권과 탑승권을 반복적으로 제시할 필요 없이 간편한 신원 확인이 가능해졌다.

 

또 자동 보안검색 시스템 도입으로 보안 절차를 신속화 하면서도 철저한 보안 관리를 구현해 공항 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공항공사는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출·입국 속도를 제공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이번 4단계 확장 사업은 장기계획을 흔들림 없이 성공적으로 추진한 정부 정책의 대표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어 “여객 1억명 시대를 열며 대한민국의 새로운 비상으로 가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학재 공항공사 사장은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완료 및 그랜드 오픈을 통해 세계 3위 규모 메가 허브공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외 경쟁공항과의 우위를 선점하며 우리나라 항공산업 위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