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공간 재난대응 시스템 개발로 국비 14억 확보

부평지하상가 지하도. 인천시 제공
부평지하상가 지하도.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전국 공모에서 1위를 차지, 스마트 재난 대응 기술 선도한다.

 

19일 시에 따르면 ‘2025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신규사업’ 공모에 제출한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지하공간 재난대응 및 훈련시스템 개발’ 사업이 전국 20개 사업 중 1순위로 국비 14억원을 확보했다.

 

이번 공모사업은 행정안전부가 지역별 특성에 맞춘 재난사고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했다. 시는 부평지하상가를 대상으로 재난대응 및 훈련시스템을 연구·개발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민 안전 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부평지하상가는 단일면적 최다 점포로 2014년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에 따라 시는 매장 수와 유동인구가 많아 재난이 일어나면 지상 대피 등 상황판단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민 안전 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평가위원들은 이 점을 호평, 1순위로 선정했다.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지하공간 재난대응 및 훈련시스템 개발 계획안. 인천시 제공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지하공간 재난대응 및 훈련시스템 개발 계획안. 인천시 제공

 

이번 사업기간은 3년이다. 1차 연도에는 지하상가 3차원(3D) 실내 공간정보 구축 및 개발시스템을 설계한다. 2차 연도에는 디지털트윈 기반의 지하상가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을 개발한다. 3차 연도에는 지하상가 대상 기술개발 실증 및 확산적용 방안 마련 등 부평지하상가를 대상으로 재난대응, 피난 및 훈련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김성훈 시 시민안전본부장은 “부평지하상가가 시민들에게 더욱 안전한 공간으로 거듭날 것”이라며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실증을 통해 인천 지역 다른 지하상가로 확대 적용하고, 타 지자체와 성과공유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