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전국 공모에서 1위를 차지, 스마트 재난 대응 기술 선도한다.
19일 시에 따르면 ‘2025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신규사업’ 공모에 제출한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지하공간 재난대응 및 훈련시스템 개발’ 사업이 전국 20개 사업 중 1순위로 국비 14억원을 확보했다.
이번 공모사업은 행정안전부가 지역별 특성에 맞춘 재난사고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했다. 시는 부평지하상가를 대상으로 재난대응 및 훈련시스템을 연구·개발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민 안전 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부평지하상가는 단일면적 최다 점포로 2014년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에 따라 시는 매장 수와 유동인구가 많아 재난이 일어나면 지상 대피 등 상황판단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민 안전 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평가위원들은 이 점을 호평, 1순위로 선정했다.
이번 사업기간은 3년이다. 1차 연도에는 지하상가 3차원(3D) 실내 공간정보 구축 및 개발시스템을 설계한다. 2차 연도에는 디지털트윈 기반의 지하상가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을 개발한다. 3차 연도에는 지하상가 대상 기술개발 실증 및 확산적용 방안 마련 등 부평지하상가를 대상으로 재난대응, 피난 및 훈련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김성훈 시 시민안전본부장은 “부평지하상가가 시민들에게 더욱 안전한 공간으로 거듭날 것”이라며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실증을 통해 인천 지역 다른 지하상가로 확대 적용하고, 타 지자체와 성과공유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